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

세잎승마(1)

by 풀꽃나무광 2021. 8. 9.

세잎승마(1) | Three-leaf Komarov’s bugbane

Se-ip-seung-ma

Cimicifuga heracleifolia var. bifida Nakai, 1909.

한국고유종

 

○ 국명정보
세잎승마 : Taxonomic notes onCimicifuga purpurea, stat. nov. (Ranunculaceae). Novon 6: 93-95. (이현우 & 박종욱, 1996)  

○ 국명의 유래
"세잎 + 승마",  세잎승마라는 이름은 잎이 3장으로 이루어진 겹잎인 승마 종류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분류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승마속(Cimicifuga)

 나제승마 / 눈빛승마 / 승마 / 왜승마 / 촛대승마 / 황새승마 / 세잎승마

 

 분포|자생지
 
  중국 | 중부 이남의 숲 속에서 드물게 자란다.

 

 형태
   여러해살이풀  
   줄기  곧게 서고 80-120cm 정도로 자란다.
     3장으로 이루어진 겹잎이며 아랫부분에서 발달하며 가운데 작은 잎은 난형 또는 원형으로 윗부분이 다시 3갈래로 갈라진다. 잎 가장자리에는 고르지 않은 톱니가 있다.
      8-9월경에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난 길이 20-60cm의 원추꽃차례에 달리며 흰색이다. 꽃잎 모양의 꽃받침잎은 4-5개이며 도란형이거나 넓은 타원형이다. 수술은 12-34개이고 꽃밥은 연한 황색이다. 
   열매   골돌이며 난형, 10월에 익는다.

 

 동정 포인트
 
1. 눈빛승마에 비해서 잎은 3장으로 이루어진 겹잎이며 작은잎은 윗부분에서 다시 3갈래로 갈라지고 암수한포기로 핀다.----------세잎승마    

2. 세잎승마(C. heracleifolia Kom. var. bifida Nakai)에 비해서 잎은 더욱 여러 번 갈라지며, 꽃은 암수딴포기로 피므로 구분된다.-----눈빛승마  

3. 한반도 중서부 해안 및 북부 지방, 만주에 분포하는 기본종인 승마는 작은잎이 9~15장이므로 다르다.

 

 참고
   
한반도생물자원포털      
   이우철 <한국기준식물도감>

 

 여적

-눈빛승마(좌) : 세잎승마(우)

2021. 08. 05. 강원 인제 백담계곡

'한반도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물통이(2)  (0) 2021.08.11
쥐털이슬(2)  (0) 2021.08.10
무궁화(3)  (0) 2021.08.09
흰물봉선(1)  (0) 2021.08.09
쉬땅나무(3)  (0) 2021.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