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

별꽃(2)

by 풀꽃나무광 2021. 3. 26.

꽃(2)| 보달개, 잣나물, 영문명 Common chickweed

Byeol-kkot

Stellaria media (L.) Vill. Alsine media L.

 

○ 국명정보
별꽃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조선식물향명집>(1937)

○ 국명의 유래 
"별 + 꽃"   별꽃이라는 이름은 5장으로 핀 흔 꽃의 형태다 작은 별을 닮은 데서 유래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한국 식물 이름의 유래>

 

 분류
   석죽과(Caryophyllaceae) 별꽃속(stellaria)

  별꽃 / 쇠별꽃 / 신의주별꽃 / 실별꽃 / 애기가지별꽃 / 왕별꽃 / 일월산별꽃 / 큰별꽃 / 벼룩나물

 

 분포|자생지
 
  전 세계 | 전국 길가, 공터, 밭두렁 등에 흔하게 자란다.

 

 형태
   두해살이풀  
   줄기  밑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길이 10-20cm로 밑부분이 눕는다. 

     마주나며 달걀 모양으로 길이 1-2cm, 폭 0.5-1.5cm다.
     3-4월에 가지 끝 취산꽃차례에 피며, 흰색이다. 꽃자루는 길이 0.5-4.0cm, 꽃이 진 후 밑으로 굽었다가 열매가 익으면 다시 곧추선다. 꽃받침잎은 5장이다. 꽃잎은 5장, 깊게 2갈래로 갈라지며, 꽃받침잎보다 조금 짧다. 수술은 1-7개, 암술대는 3개다. 
   열매  삭과이며, 6갈래로 갈라진다.

 

 동정 포인트
 
1. 쇠별꽃(Stellaria aquatica (L.) Scop.)과 비슷하나 별꽃은 쇠별꽃보다 크기가 작으며 암술대가 3개로 암술대가 5개인 쇠별꽃과 뚜렷이 구분된다.

 

 참고
    
한반도생물자원포털    https://www.nibr.go.kr/species/home/species/spc01001m.jsp?cls_id=51638&from_sch=Y 
     이우철 <한국기준식물도감>

 

 여적

  어린순은 식용으로 쓴다. 본 분류군 식물의 잎에는 사포닌(saponin)이 함유되어 있어 많은 양을 한꺼번에 섭취하였을 경우 몸에 해롭다. 본 분류군의 식물은 외용약으로 피부 가려움증을 치료하는 데 쓴다. 그러나 임산부에게는 쓰지 않는다(Chevallier 1996).
  본 분류군은 속씨식물 중에서 전 세계적으로 가장 분포역이 넓은 식물 다섯 가지 중 하나이다. 다른 네 식물은 마디풀과의 마디풀(Polygonum aviculare), 십자화과의 냉이(Capsella bursa-pastoris), 명아주과의 흰명아주(Chenopodium album), 그리고 새포아풀(Poa annua)이다(Hurka et al. 2003).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오상훈)

 

'한반도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냉이(1)  (0) 2021.03.27
진달래(2)  (0) 2021.03.26
개불알풀(1)  (0) 2021.03.23
백목련(2)  (0) 2021.03.23
비비추(1)  (0) 2021.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