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버섯류

흰오뚜기광대버섯(3)

by 풀꽃나무광 2020. 9. 1.

흰오뚜기광대버섯(3) | 흰오뚜기광대닥버섯

Hin-o-ttu-gi-gwang-dae-Beo-seot

Amanita castanopsidis Hongo 1974

 

분류

Basidiomycota 담자균문 > Agaricomycetes 주름버섯강 > Agaricales 주름버섯목 > Amanitaceae 광대버섯과 > Amanita 광대버섯속

-우리나라 광대버섯속에는 56종 정도가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분포

한국, 일본 | 여름, 숲 속 토양에 흩어져 나거나 소수 무리지어 발생한다.

 

개요

갓은 35~70mm, 반반구형~편평형이고, 표면은 백색으로 피라미드상~사마귀상 돌기가 있으며, 성장하면 담회갈색~담황갈색을 띠며, 갓 끝에 면모상의 내피막 잔유물이 부착되어 있다. 주름살은 떨어진 주름살이며, 백색이다. 대기부는 팽대하여 구근상이고, 아래쪽은 가늘어져 위뿌리형이다. 포자는 8.5~12×5~7μm이고, 타원형이며, 아밀로이드이다.

 

활용

맹독성 버섯임

 

동정 포인트

-갓 표면은 흰색이고 1-3mm의 원뿔형 큰 사마귀가 전면에 덮여 있다. 
-갓 가장자리에는 외파막 조각이 붙어 있을 때도 있다. 
-사마귀 같은 조각은 갓의 중앙은 크고 가장자리는 작으며 때로 회색 또는 갈색을 띤다.
-주름살은 흰색, 자루에서 떨어져 붙은 모양이며 간격은 약간 촘촘하고 폭은 넓다. 
-자루는 아래로 굵어지는 원기둥 모양이고 자루 표면은 흰색인데 솜 모양 또는 가루 같은 물질이 덮여 있다.
-자루 기부는 넓고 둥근 뿌리 모양으로 부풀어 솜 모양 또는 각추형의 사마귀로 덮여 있다.
-턱받이는 흰색의 거미집 모양 또는 솜털 모양으로 떨어지기 쉽다.

 

흰오뚜기광대버섯 : 흰가시광대버서

흰오뚜기광대버섯 흰가시광대버섯(=닭다리버섯, Amanita virgineoides Bas)

 

참고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species.nibr.go.kr/home/mainHome.do?cont_link=009&subMenu=009002&contCd=009002&ktsn=120000008214

김양섭, 석순자 박영준 <한국의 버섯도감>

박완희, 이지헌 <새로운 한국의 버섯>

 

여적

2021. 08. 02. 경기 고양 봉대산

'버섯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밀꽃애기버섯(4)  (0) 2020.09.01
혈색무당버섯  (0) 2020.09.01
삿갓땀버섯  (0) 2020.08.31
애기꾀꼬리버섯  (0) 2020.08.31
밀꽃애기버섯(2)  (0) 2020.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