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반도 자생 범의귀과(Saxifragaceae) 괭이눈속(Chrysosplenium) 검색표
한림대 김용인 교수 작성
1. 잎이 어긋남
2. 화기에 포엽이 노란색임(북한 분포)--------------시베리아괭이눈(C.alternifolium var. sibiricum Seringe ex DC.)
2. 화기에 포엽이 녹색 또는 연녹색임
3. 무성지 발달, 줄기잎과 무성지잎이 이형임-----------------------------애기괭이눈(C. flagelliferum F. Schmidt)
3. 무성지 미발달, 줄기잎과 근생엽이 동형임-----------------------------산괭이눈(C. japonicum (Maxim.) Makino)
1. 잎이 마주남
4. 꽃받침잎이 수평으로 펴짐-----------------------------------------------가지괭이눈(C. ramosum Maxim.)
4. 꽃받침잎이 수직으로 섬
5. 식물체에 털이 거의 없음
6. 수술은 8개, 무성지 말단의 잎이 로제트를 형성함-------------------------선괭이눈(C. pseudofauriei H. Lev.)
6. 수술은 주로 4(-6)개, 줄기가 옆으로 뻗으며 가지가 갈라짐-------------------괭이눈(C. grayanum Maxim.)
5. 식물체에 털이 있음
7. 화기에 포엽의 색이 녹색(연녹색)임-----------------------------------흰털괭이눈(C. barbatum Nakai)
7. 화기에 포엽의 색이 노란색 또는 연노랑색임
8. 무성지 잎 앞면에 털이 없음
9. 무성지 잎 앞면에 흰색 무늬가 있음----------------------------------누른괭이눈(C. flaviflorum Ohwi)
9. 무성지 잎 앞면에 은(흰)색 점이 있음
10. 결실기에 무성지 엽액에서 얇은 가지 발달함----------기는괭이눈(C. epigealum J.W.Han & S.H.Kang)
10. 결실기에 무성지 길게 발달, 가지 3회 이상 분지함--------가지털괭이눈(C. ramosissimum Y.I.Kim & Kim)
8. 무성지 잎 앞면에 털이 있음
11. 꽃 진 후 무성지 줄기 발달 않고, 로제트 형성----천마괭이눈(C. valdepilosum (Ohwi) S.H.Kang & J.W.Han)
11. 꽃 진 후 무성지 줄기가 발달함
12. 무성지 줄기 아치형으로 발달함--------천지괭이눈(C. macrospermum Y.I.Kim & Y.D.Kim)
12. 무성지 줄기 길게 발달, 말단에 로제트 형성 안함-----연노랑괭이눈(C. aurebracteatum Y.I.Kim & Y.D.Kim)
▩ 한국의 괭이눈속(Chrysoplenium) 검색표------------------------대효 작성
1. 잎 호생 |
'유사종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주개자리 : 서양벌노랑이 (0) | 2021.04.17 |
---|---|
생강나무와 산수유나무 구별 (0) | 2021.03.21 |
진달래과(Ericaceae) 수정란풀속(Monotropa)과 나도수정초속(Monotropastrum) (0) | 2019.02.09 |
까실쑥부쟁이 : 개쑥부쟁이 : 개미취 (0) | 2018.11.10 |
바디나물 : 지리강활 :구릿대 (0) | 2018.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