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쑥부쟁이 | 중국명 사구와화(砂狗娃花 sha gou wa hua)
Gae-ssuk-bu-jaeng-i
Aster meyendorffii (Regel & Maack) Voss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Aster meyendorfii (Regel & Maack) Voss 로 되어 있다. 학명 오류임
이명 Galatella Meyendorffii Regel & Maack / Heteropappus hispidus var. longeradiatus Kom. /
Heteropappus meyendorffii (Regel & Maack) Komarov & Alissova-Klobukova
Galatella meyendorffii Regel & Maack, Mém. Acad. Imp. Sci. Saint Pétersbourg, Sér. 7, 4: 81. 1861;
Aster ciliosus Kitamura
A. depauperatus H. Léveillé & Vaniot
Heteropappus hispidus (Thunberg) Lessing var. longiradiatus Komarov;
H. magnicalathinus J. Q. Fu; H. meyendorffii (Regel & Maack) Komarov & Alissova-Klobukova;
H. meyendorffii var. hirsutus Y. Ling & W. Wang
H. tataricus (Lindley ex Candolle) Tamamschjan var. hirsutus (Y. Ling & W. Wang) H. C. Fu.
○ 국명정보
개쑥부쟁이 :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개 + 쑥부쟁이", 개쑥부쟁이라는 이름은 쑥부쟁이와 비슷하게 생겼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어린잎을 식용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한국 식물 이름의 유래>
○ 분류
국화과(Asteraceae)>참취속(Aster)
가새쑥부쟁이 / 개미취 / 갯개미취 / 갯쑥부쟁이 / 눈갯쑥부쟁이 / 미국쑥부쟁이 / 벌개미취 / 비짜루국화 / 섬쑥부쟁이 / 쑥부쟁이 / 옹굿나물 / 왕갯쑥부쟁이 / 우선국 / 개미취 / 참취 / 추산쑥부쟁이 / 해국 / 까실쑥부쟁이 / 단양쑥부쟁이 / 눈쑥부쟁이 / 개쑥부쟁이
○ 분포|자생지
중국(동북, 내몽골, 하북, 산서, 섬서, 감숙 동북), 러시아 극동지구, 한국, 일본 | 중국에서는 물가 사구, 숲속 사구, 산기슭 초지에 난다.
○ 형태
생활형 여러해살이풀
줄기 직립한다. 높이 35-50 cm, 세로줄무늬가 있고, 빳빳하고 가는 털이 빽빽하게 섞여 나있다. 보통 중간부터 위쪽으로 가지가 갈라진다.
잎 기부 및 아래쪽 잎은 줄기잎은 개화기에 말라 비틀어지고, 난형 혹은 도란상 타원형이다. 길이 5-6 cm, 너비 2.5-3.5 cm, 정단은 둔하거나 급히 뾰족하다. 기부는 좁아져서 긴 자루가 된다. 잎 가장자리는 굵고 둥근 톱니가 있다. 3맥이 있다. 줄기 중간에 나는 잎은 좁고 긴 원형, 길이 5-6cm, 너비 1-2cm, 정단은 둔하거나 급히 뾰족해진다. 기부는 점차 약간씩 좁아진다. 엽병은 없다. 상부의 잎가장자리는 무딘 거치가 있거나 밋밋하다. 잎 윗면은 녹색이고 아랫면은 연녹색이다. 잎끝은 뭉툭하거나 뾰족하다. 잎 양면 겉에 짧고 빳빳한 털이 평평하게 나 있고, 가장자리 및 아래쪽 맥 위에 빳빳한 털이 덮여 있다. 가운데 맥 및 측맥 양면에 고르게 뚜렷이 드러난다. 상부 잎은 점차 작아지고 피침형 내지 긴 피침형이다. 작은 가지에는 길이 1-1.5cm, 너비 mm, 밋밋하고 1맥이 있다.
꽃 두상화서는 가지 끝에 단생한다. 지름 3-5cm, 기부에 포편 모양의 작은잎이 있다. 총포는 반구형, 직경 13-18cm, 총포편은 2-3층, 초질, 선상 피침형, 길이 7-8cm, 정단은 점차 뾰족해진다. 뒷면에 거칠고 긴 털과 샘털이 있다. 내층 아래쪽 가장자리는 막질이다. 설상화 관부분은 길이 약 1.8mm, 혀꽃잎은 청자색, 선상 긴 타원형, 길이 14-17(-27)mm이, 너비 2-2.5mm이다. 설상화 끝부분은 3개로 갈라지거나 밋밋하다. 관상화는 노란색, 길이 약 5mm, 관부의 길이 1-1.5mm, 짧고 거센 털이 성기게 난다. 열편은 5개, 길이는 0.8-1.2mm로 균등하지 않다. 암술대 부속물은 3각형이다. 관상화에 있는 수과는 커져 도란형, 길이 2.2-3mm, 너비 0.8-2.2mm, ,넙적한데 가장자리에 늑이 있다. 겉에 짧고 거센 털이 있다. 설상화의 수과는 좁고 긴데 자라지 않는다. 관모는 옅은 홍갈색, 길이 2-2.4mm, 25-35개의 길이가 같지 않은 거친 털이 있다.
설상화 관모는 소수 혹 비교적 짧다. 간혹 때로 관모가 없기도 하다. 8-9월에 개화한다.
열매 관상화에 있는 수과는 커져 도란형, 길이 2.2-3mm, 너비 0.8-2.2mm, ,눌린 모양, 가장자리에 늑이 있다. 겉에 짧고 거센 털이 있다. 설상화의 수과는 좁고 긴데 자라지 않는다. 관모는 옅은 홍갈색, 길이 2-2.4mm, 25-35개의 길이가 같지 않은 거친 털이 있다. 설상화 관모는 소수 혹 비교적 짧다. 간혹 때로 관모가 없기도 하다.
※위 기재문은 중국식물지를 참고하였음
1. http://frps.iplant.cn/frps/Heteropappus%20meyendorffii
2. http://www.efloras.org/florataxon.aspx?flora_id=2&taxon_id=242306233
○ 동정 포인트
▩ 섬갯쑥부쟁이 : 갯쑥부쟁이 : 개쑥부쟁이 대비
섬갯쑥부쟁이=주걱쑥부쟁이 Aster arenarius (Kitam.) Nemoto, 普陀狗娃花 이명 Heteropappus arenarius Kitam. |
갯쑥부쟁이 Aster hispidus Thunberg, 狗娃花 |
개쑥부쟁이 砂狗娃花 Aster meyendorffii (Regel & Maack) Voss |
|
줄기 | 평평하게 눕거나 비스듬히 선다. | 직립한다. | 직립한다. |
잎 | 주걱 모양, 윤택, 연모가 있다. 엽연이 밋밋하다. | 잎에 굽은 털이 많다. 위쪽 잎 모양은 도피침형 또는 선형이다. 아래쪽 잎은 타원형~긴타원형, 엽연에 성긴 거치가 있다. | 줄기잎은 장타원형이다. 줄기와 잎 뒤에 잔털이 많다. |
관모 | 설상화의 관모 1mm 짧다. 통상화의 관모 3-3.5mm. 관모가 갯쑥부쟁이에 비해 약간 두껍다. | 소화경에 굽은 털이 많다. 관모- 설상화의 관모는 희고, 짧다. 통상화의 관모는 희고, 길다.총포편에 굽은 털이 있다. | 관모가 붉은색. 설상화 관모 길이는2.5-3mm로 갯~, 섬갯~에 비해 더 길다. 설상화 관모 길이는 통상화 관모보다 약간 짧거나 거의 비슷하다. |
분포지 | 제주도, 부산~삼척까지 해안을 따라 분포한다. | 산, 들, 바닷가 등 주변에 가장 흔하게 분포한다. | 북방계식물로 남한에서는 중부지방 비교적 고지대에 분포한다. |
참고 | ※제주도 성산포, 섭지코지 등 해안가 모래사장에 자라는 것은 대개 섬갯쑥부쟁이다. | ※지금까지 가장 흔하게 만나는 개쑥부쟁이로 동정한 것은 실은 갯쑥부쟁의 오동정이다. | ※대한식물도감에서는 A. ciliosus Kitam. (개쑥부쟁이)로 되어 있는데 FOC에서는 A. hispidus Thumb.으로 이명처리하였다. |
FOC기재문/세밀화 | 기재문 http://www.efloras.org/florataxon.aspx?flora_id=2&taxon_id=242306120 세밀화 http://www.efloras.org/florataxon.aspx?flora_id=2&taxon_id=242306120 *일본 표본 |
기재문 http://www.efloras.org/florataxon.aspx?flora_id=2&taxon_id=220001264 * 갯쑥부쟁이 세밀화 1 * 갯쑥부쟁이 세밀화 2 |
기기재문 http://www.efloras.org/florataxon.aspx?flora_id=2&taxon_id=242306233 세밀화 http://images.mobot.org/efloras/FloraIllustration/foci20_21/foci20_21-513.jpg |
○ 참고
한반도생물자원포털
이우철 <한국기준식물도감>
▩ 쑥부쟁이와 개쑥부쟁이의 대조
쑥부쟁이 | 개쑥부쟁이=>갯쑥부쟁이 | |
학명 | Aster yomena (Kitam.) Honda | Aster meyendorfii (Regel & Maack) Voss => Aster hispidus Thunberg, 狗娃花 |
줄기 | 높이 30-100cm, 싹이 나올 때 붉은빛이 강함. 자라면서 녹색 바탕에 자줏빛이 돈다. | 높이 35-50cm, 종선과 털이 있음. 옆으로 뻗는 가지가 있음 |
잎 | -난상 장타원형, 첨두, 엽저는 좁아져 엽병처럼 됨. 표면에 윤채 있음. 가장자리를 제외하고 거의 털 없음. 거친 톱니가 있고 위로 갈수록 작아짐. 밑부분의 잎은 3출맥이 다소 나타남. | -근생엽 : 개화시 말라 죽는다. 엽형은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 둔두, 예저, 잎이 밑으로 흐르고 엽병이 길다, 가장자리 큰 톱니, 털 있음. -경생엽 : 좁고 긴 타원형 다닥다닥 붙음. 둔두 밑으로 갈수록 좁아져 엽병처럼 됨, 양면이 거칠고 윗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거나 밋밋함. |
꽃 |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 산방상으로 1개씩 달려 연한 자색으로 핌. 두화는 지름 3cm 내외, 총포편은 3렬 배열. | - 두화의 지름 15-18mm, 포는 선상 피침형으로 3줄 배열, 꽃부리는 담자색. |
열매 | -관모 길이는 0.5mm | - 관모의 길이 2.5-3mm, 붉은빛이 돈다. |
○ 참고
중국식물지
▩ 중국식물지의 세밀화(1-4)
줄천 http://www.efloras.org/object_page.aspx?object_id=121158&flora_id=2
○ 여적
-설상화는 암꽃, 결실하지 못한다. 관모는 소수, 비교적 짧거나 없기도 한다.
-관상화 수과는 삼릉형, 관모는 옅은 홍갈색, 길이 2-2.4mm, 25-35개 길이가 같지 않은 거친 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