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백두산지역

투구꽃(1)

by 풀꽃나무광 2017. 11. 6.

투구꽃(1) | 그늘돌쩌귀/돌쩌귀풀/초오, 강바꽃/개무강바꽃/그늘돌쩌귀풀/만주돌쩌귀, 선투구꽃, 개싹눈바꽃, 진돌쩌귀, 싹눈바꽃, 세잎돌쩌귀, 흰그늘돌쩌귀

Tu-gu-kkot

Aconitum jaluense Kom. 

 

○ 국명정보
투구꽃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조선식물향명집>(1937) 

 국명의 유래
"투구 + 꽃",   투구꽃이라는 이름은 꽃의 모습이 투구를 닮아 붙여졌다. 생약명으로 초오(草烏), 초오두(草烏頭)라고 하는데 까마귀의 머리를 닮은 식물이라는 뜻이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한국 식물 이름의 유래>

 

 분류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초오속(Aconitum)

 가는돌쩌귀 / 가는잎바꽃 / 가는줄돌쩌귀 / 각시투구꽃 / 날개진범 / 넓은잎초오 / 민바꽃 / 백부자 / 선덩굴바꽃(놋젓가락나물) / 선줄바꽃 / 선투구꽃 / 세뿔투구꽃 / 싹눈바꽃 / 이삭바꽃 / 줄바꽃 / 지리바꽃 / 진범(진교) / 참줄바꽃 / 키다리바꽃 / 투구꽃 / 한라투구꽃 / 흰진범(흰진교) / 한라돌쩌귀 / 노랑투구꽃

 

 분포|자생지
 
  중국(동북부), 러시아(우주리 지역), 일본, 한국 |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의 낙엽활엽수림 내 그늘지고 토양이 비옥하하며 습기가 많은 곳, 해발 400mm 이상의 산지 계곡과 능선에 자란다. 

 

 형태
   여러해살이풀  
   줄기   곧추서며, 높이 80-100cm다. 
     어긋나며, 3-5갈래로 갈라지고, 갈래 끝이 뾰족하다. 줄기 위쪽의 잎은 점점 작아지고, 3갈래로 갈라진다. 
     9월에 줄기 끝과 잎겨드랑이에서 난 총상꽃차례 또는 겹총상꽃차례에 피며, 투구 모양이고, 보라색, 자주색, 흰색이다. 꽃자루는 곧고 퍼진 털이 난다. 꽃받침잎은 5장, 꽃잎처럼 보이고, 겉에 털이 있다. 꽃잎은 2장, 위쪽 꽃받침 속에 있으며, 꿀샘으로 된다. 수술은 많고, 아래쪽이 날개처럼 넓어진다. 암술은 3-5개, 털이 많다.
   열매   골돌이며, 타원형이다.

 

 동정 포인트
1. 본 분류군은 분류군 내의 형태적 변이가 심하며, 2년생 뿌리를 지니는 줄기가 직립하고 잎이 3갈래로 깊게 갈리고, 꽃이 달리는 소화경에 긴 선형의 선모가 분포하는 특징으로 다른 초오속 분류군과 구별된다. 

2. 한라산에 분포하는 한라돌쩌귀에 비해서 꽃자루에 꼬부라진 털이 아니라 곧고 퍼진 털이 있으므로 구분된다.   

3. 지리바꽃은 잎이 아주 가늘고 깊게 갈라지고 꽃자루에 볼링 핀 모양의 아래가 두툼한 털이 있어서 구분된다.

 

 참고

본 분류군은 코마로프(Komarov)가 1901년 암술 표면에 털이 밀생하는 특징을 근거로 기재한 종으로 한반도를 비롯한 만주 등 중국 동북부 지역에 분포한다. 카도타(Kadota)는 1987년 투구꽃과 형태적으로 유사한 세잎돌쩌귀, 그늘돌쩌귀, 진돌쩌귀, 싹눈바꽃, 개싹눈바꽃, 및 지리바꽃의 주요 식별 형질이 투구꽃의 변이의 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고 이들을 모두 투구꽃의 이명으로 처리하였다. 그러나 지리바꽃은 염색체가 16개인 2배체로 염색체가 32개로 4배체인 나머지 분류군과 다르며, 잎이 가늘고 깊게 갈라지는 형태적 특징으로 뚜렷이 구분된다. 또 인위 교배 실험에 의하면 지리바꽃과 염색체가 4배체인 분류군은 유전적으로 격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전 한반도생물자원포털

 

 여적

 

 

 

 

 

 

 

 

 

 

 

 

2016. 07. 29. 중국 연변 용정

'백두산지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나래박쥐(1)  (0) 2017.11.06
왜우산풀(1)  (0) 2017.11.06
금매화(1)  (0) 2017.11.05
노랑물봉선(1)  (0) 2017.11.05
두메잔대(추정)  (0) 2017.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