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벼과

고려용수염

by 풀꽃나무광 2017. 8. 12.

고려용수염 | 고려용수염풀

Go-ryeo-yong-su-yeom
Diarrhena koryoensis Honda


○ 국명정보
고려용수염 : ?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등재되지 않음.

고려용수염을 광릉용수염과 껍질용수염의 잡종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 국명의 유래 
"고려 + 용수염", 고려용수염이라는 이름은 한국(고려)에 분포하는 용수염 종류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분류   

벼과(Poaceae) 용수염풀속(Diarrhena)

용수염풀 / 고려용수염 / 광릉용수염 / 껍질용수염

 

분포|자생지
 
   중국, 일본, 한국 |충남 안면도, 거제도, 제주도 숲 속에서 자란다. 

 

형태
   생활형  
여러해살이풀  

     지하경 마디에서 나오는 새싹은 윤채가 나는 딱딱한 비늘에 싸이고 엽설은 무모, 막질로 0.5-1mm이다. 
     꽃은 7~9월에 원추화서 개방형으로로 피며, 가지는 성글고 넓게 펼쳐지고, 한 마디에 1-2개씩 난다.가지는 가는 실모양이고, 까끌거린다.

  소수  길이 3~5mm로 성숙하면 벌어진다. 포영은 2개가 서로 다르고, 소수보다 짧으며, 막질, 용골 1개에 1맥, 첨두이다.

  소화  소수축에 들러 붙는다. 

  호영  넓은 피침형 또는 난형으로 3.5-5mm, 끝부분을 제외하고는 둥그스름하고 3맥이 있으며 둔한 모양이다.

  내영  1mm로 2맥이 용골이 까끌거린다.

  수술   꽃밥은 3개, 0.7-1.2mm이다.
  열매  영과, 타원형 혹은 도란형으로 성숙하면 호영과 내영 사이로 빠져나오며 길이는 약 2.5mm이고 끝에 돌리가 있다. 

 

동정 포인트
1. 내영의 용골이 매끈하거나 약간 까글거리고 화서는 응축된 선형이다.※고려용수염을 광릉용수염과 껍질용수염의 잡송으로 보기도 한다,.

 

참고
  
 국립생물자원관 한반의 생물다양성      
   조양훈, 김종환, 박수현 < 벼과*사초과 생태도감>

 

여적

 

 

 

 

 

 

 

 

-껍질용수염에 비해 화서가 꼿꼿이 선다.

 

 

 

 

 

 

 

 

 

2017. 07. 08. 제주도 교래생태숲

 

'한반도식물 > 벼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숲개밀  (0) 2017.08.20
물잔디  (0) 2017.08.19
껍질용수염  (0) 2017.08.07
광릉용수염  (0) 2017.08.07
기장대풀(1)  (0) 2017.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