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

중의무릇(2)

by 풀꽃나무광 2016. 4. 16.

중의무릇(2) | 중무릇, 조선중무릇, 참중의무릇, 반도중무릇, 애기물구지, 누런애기물구지

Jung-ui-mu-reut

Gagea lutea (L.) Ker Gawl.

 

○ 국명정보
중의무릇 : 정태현, 도상봉, 이덕봉, 이휘재 <조선식물향명집>(1937)

○ 국명의 유래 
"중 + 의 + 무릇" 중의무릇이라는 이름은 무릇과 땅속 비늘줄기의모양이 비슷한 데서 유래했다. 중의무릇의 중은 승려를 낮추어 부르는 말로, 중의무릇은 산 속에 사는 무릇 또는 무릇보다 쓰임새가 못하다는 뜻으로 추정한다. 사찰에서 먹을 수 있다는 뜻에서 생겨난 이름이라는 견해가 있으나 식용하는 것에 대한 기록이 발견되지 않으며 독성이 강해 사망에 이르게도 하여 식용이 어려운 점을 감안할 때 타당성이 미흡하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한국 식물 이름의 유래>

 

 분류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Liliopsida 백합강 > Liliales 백합목 > Liliaceae 백합과 > Gagea 중의무릇속

애기중의무릇 / 중의무릇

 

분포|자생지
 
  중국(만주), 러시아(아무르, 우수리, 다후리아), 한국  | 강원(세포), 평남(평양) 등의 저지대 산야의 습한 곳에 난다.

 

형태
   생활형  
여러해살이풀  
   비늘줄기  난상 원형으로 길이 8~10㎜이다.

   꽃줄기   높이 10~15㎝로 연약하다. 
     근엽은 1개이고 선형으로 길이 10~20㎝, 너비 1㎜ 내외로 약간 안으로 말린다.
     4~5월에 황색으로 피고 화경 윗부분에 2개의 포엽과 2~3개의 꽃이 산형으로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1~2.5㎝이고 포는 엽상으로 길이 2~3㎝이며 밑부분이 넓다. 화피편은 6개이고 선상 타원형으로 길이 5~7㎜이며 끝이 둔하다. 수술은 6개로 화피보다 짧고 화피편 밑부분에 붙는다.
   열매  삭과, 둥글고 지름이 약 5㎜이다.


동정 포인트 
중의무릇에 비해 근경의 너비가 1㎜로 좁고 화피편의 길이가 짧으며 꽃이 2~3개 달린다. 인경의 외피가 흑갈색이고 근엽의 너비가 약 2㎜이며 화피편의 길이가 7~9㎜인 Gagea japonica Pascher와의 관계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우철 <한국기준식물도감>

  

 1. 구근의 색깔이 짙은 갈색이다. 잎의 너비는 2-3mm이다. 화피의 길이는 7-9mm이다. 꽃이 2-3개 달린다.-------------애기중의물릇   

2. 구근의 색깔이 황색이다. 잎의 너비는 5-7mm이다. 화피의 길이는 12-15mm이다. 꽃이 4-10개 달린다.----------------중의무릇

 

참고
   
한반도생물자원포털, 

   들꽃카페 http://cafe.naver.com/wildfiower/book73209/33296

 

여적

▩ 중의무릇과 애기중의무릇
 우리나라 식물 이름엔 '애기-'라는 말이 들어 있는 것이 많다. 애기괭이눈, 애기괭이밥, 애기나리, 애기메꽃 .... 등등. 이런 식물들은 대개 이 말이 없는 식물에 비해 작고 귀엽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애기무릇도  그 중의 하나다. 그런데 이 두 가지의 구분이 애매한 경우가 참 많다. 대개의 도감이나 검색집에서는 잎의  너비, 화피의 길이, 꽃차례에 다리는 꽃의 수, 구근의 색깔로 구분한다. 그러나 자라는 생태 환경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으므로 길이, 너비, 숫자 등으로 구분하기는 애매하기 짝이 없다.
지난 조사에서는 줄기 끝에 꽃이 2-3개만 달려 있는 것에 주목하여 애기중의무릇이 아닌가 생각했는데 1차조사 때 채집한 장소 가까이에서 그때와는 전혀 다른 개체를 채집했다. 전엣것은 2-3개만 산형화서였는데 이번 것은 7-8개가 달려 있다. 게다가 잎의 폭이 2-3mm보다는 족히 더 넓어 보인다. 애기중의무릇이라기 보다는 그냥 중의무릇으로 보는 것 맞다.
<한반도생물자원포털>에서는 기재문은 아직 정리되어 있지 않은 채 중국 길림성에서 채집한 표본 사진만 올라와 있는데 중의무릇과는 뿌리가 전혀 달라 보인다. 뿌리의 끝부분에 작은 괴경이 많이 달려 있는 모습이다.

 

2022. 03. 31. 제주도 한라산
2016. 04. 09. 강원도

'한반도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붉은키버들  (0) 2016.04.22
금낭화  (0) 2016.04.16
남도현호색  (0) 2016.04.16
나도바람꽃(2)  (0) 2016.04.14
털괭이눈  (0) 2016.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