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의무릇(2) | 중무릇, 조선중무릇, 참중의무릇, 반도중무릇, 애기물구지, 누런애기물구지
Jung-ui-mu-reut
Gagea lutea (L.) Ker Gawl.
○ 국명정보
중의무릇 : 정태현, 도상봉, 이덕봉, 이휘재 <조선식물향명집>(1937)
○ 국명의 유래
"중 + 의 + 무릇" 중의무릇이라는 이름은 무릇과 땅속 비늘줄기의모양이 비슷한 데서 유래했다. 중의무릇의 중은 승려를 낮추어 부르는 말로, 중의무릇은 산 속에 사는 무릇 또는 무릇보다 쓰임새가 못하다는 뜻으로 추정한다. 사찰에서 먹을 수 있다는 뜻에서 생겨난 이름이라는 견해가 있으나 식용하는 것에 대한 기록이 발견되지 않으며 독성이 강해 사망에 이르게도 하여 식용이 어려운 점을 감안할 때 타당성이 미흡하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한국 식물 이름의 유래>
○ 분류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Liliopsida 백합강 > Liliales 백합목 > Liliaceae 백합과 > Gagea 중의무릇속
애기중의무릇 / 중의무릇
○ 분포|자생지
중국(만주), 러시아(아무르, 우수리, 다후리아), 한국 | 강원(세포), 평남(평양) 등의 저지대 산야의 습한 곳에 난다.
○ 형태
생활형 여러해살이풀
비늘줄기 난상 원형으로 길이 8~10㎜이다.
꽃줄기 높이 10~15㎝로 연약하다.
잎 근엽은 1개이고 선형으로 길이 10~20㎝, 너비 1㎜ 내외로 약간 안으로 말린다.
꽃 4~5월에 황색으로 피고 화경 윗부분에 2개의 포엽과 2~3개의 꽃이 산형으로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1~2.5㎝이고 포는 엽상으로 길이 2~3㎝이며 밑부분이 넓다. 화피편은 6개이고 선상 타원형으로 길이 5~7㎜이며 끝이 둔하다. 수술은 6개로 화피보다 짧고 화피편 밑부분에 붙는다.
열매 삭과, 둥글고 지름이 약 5㎜이다.
○ 동정 포인트
※중의무릇에 비해 근경의 너비가 1㎜로 좁고 화피편의 길이가 짧으며 꽃이 2~3개 달린다. 인경의 외피가 흑갈색이고 근엽의 너비가 약 2㎜이며 화피편의 길이가 7~9㎜인 Gagea japonica Pascher와의 관계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우철 <한국기준식물도감>
1. 구근의 색깔이 짙은 갈색이다. 잎의 너비는 2-3mm이다. 화피의 길이는 7-9mm이다. 꽃이 2-3개 달린다.-------------애기중의물릇
2. 구근의 색깔이 황색이다. 잎의 너비는 5-7mm이다. 화피의 길이는 12-15mm이다. 꽃이 4-10개 달린다.----------------중의무릇
○ 참고
한반도생물자원포털,
들꽃카페 http://cafe.naver.com/wildfiower/book73209/33296
○ 여적
▩ 중의무릇과 애기중의무릇 우리나라 식물 이름엔 '애기-'라는 말이 들어 있는 것이 많다. 애기괭이눈, 애기괭이밥, 애기나리, 애기메꽃 .... 등등. 이런 식물들은 대개 이 말이 없는 식물에 비해 작고 귀엽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애기무릇도 그 중의 하나다. 그런데 이 두 가지의 구분이 애매한 경우가 참 많다. 대개의 도감이나 검색집에서는 잎의 너비, 화피의 길이, 꽃차례에 다리는 꽃의 수, 구근의 색깔로 구분한다. 그러나 자라는 생태 환경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으므로 길이, 너비, 숫자 등으로 구분하기는 애매하기 짝이 없다. 지난 조사에서는 줄기 끝에 꽃이 2-3개만 달려 있는 것에 주목하여 애기중의무릇이 아닌가 생각했는데 1차조사 때 채집한 장소 가까이에서 그때와는 전혀 다른 개체를 채집했다. 전엣것은 2-3개만 산형화서였는데 이번 것은 7-8개가 달려 있다. 게다가 잎의 폭이 2-3mm보다는 족히 더 넓어 보인다. 애기중의무릇이라기 보다는 그냥 중의무릇으로 보는 것 맞다. <한반도생물자원포털>에서는 기재문은 아직 정리되어 있지 않은 채 중국 길림성에서 채집한 표본 사진만 올라와 있는데 중의무릇과는 뿌리가 전혀 달라 보인다. 뿌리의 끝부분에 작은 괴경이 많이 달려 있는 모습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