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주땅귀개 | 자주땅귀이개, Purple-flower bladderwort
Ja-ju-ttang-gwi-gae
Utricularia yakusimensis Masam.
환경부지정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 국명정보
자주땅귀개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조선식물명집>(1949)
○ 국명의 유래
"자주 + 땅귀개", 자주땅귀개라는 이름은 꽃 색깔이 자주색으로 피는 땅귀개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땅귀개라는 이름은 키가 작아 땅에 붙어 자라고 귀이개(귀개)를 닮았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벌레잡이식물로 높이 7-15cm의 꽃대에 밝은 노란색의 꽃이 2-10개 달리는데, 그 모습이 귀지를 파내는 귀이개를 닮았다. 귀이개를 옛말로 귀개라고도 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한국 식물 이름의 유래>
○ 분류
통발과(Lentibulariaceae) 통발속(Utricularia)
개통발 / 들통발 / 땅귀개 / 이삭귀개 / 자주땅귀개 / 통발 / 북통발 / 참통발
○ 분포|자생지
일본, 한국 | 서울, 경북(성주), 제주(한라산) 등의 습지, 주로 질흙땅에 난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식충식물
지하경 실 모양으로 뻗고 지하부에 포충낭이 달린다.
꽃줄기 길이 5~15㎝이다.
잎 지하경 여기저기서 나고 주걱 모양으로 길이 3~6㎜이며 녹색이다.
꽃 8월에 연한 자색으로 피고 꽃줄기에 1~4개의 꽃이 총상화서로 달리며 여러 개의 인편엽이 난다. 포는 인엽과 같고 약간 너비가 좁으며 길이 1~1.5㎜이고 소포는 2개이며 선형이다. 분명한 소화경이 있고 그 끝은 꽃받침의 기부가 흘러서 2개의 날개로 된다. 화관은 지름이 3.5~4㎜로 거(距)는 하향하며 길이 2~3㎜이다.
열매 삭과, 넓은 타원형 또는 구형이며 길이 약 3㎜이고 종자는 비스듬히 융기한 선이 있다.
○ 동정 포인트
1. 본종은 땅귀개에 비해 꽃은 연한 자색이고 잎은 주걱 모양이다.
○ 참고
한반도생물자원포털
이우철 <한국기준식물도감>
○ 여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