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화훼원예식물

Stapelia grandiflora (20141014)

by 풀꽃나무광 2014. 10. 14.

Stapelia grandiflora (20141014) | 대하서각

스타펠리아 그랜디플로라 

Stapelia grandiflora Masson | 이명 Stisseria grandiflora (Masson) Kuntze / Gonostemon grandiflorus (Masson) P.V.Heath
Ceropegia grandiflora (Masson) Bruyns / Stapelia flavirostris N.E.Br.

※ 원예화훼 외래다육식물

 

분류
협죽도과(Apocynaceae) 스타펠리아속(Stapelia)

스타펠리아 그랜디플로라 Stapelia grandiflora Masson

 

분포|자생지
노던 케이프, 이스턴 케이프, 프리 스테이트를 포함한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원산지이다. | 전 세계 각지에서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개요

협죽도과 Apocynaceae 계통의 Stapelia 속에 속하는 꽃 피는 식물의 일종입니다. 일반적으로 썩은 고기 식물, 불가사리 꽃, 거대한 두꺼비 식물 또는 불가사리 선인장이라고 하지만 선인장과는 전혀 관련이 없습니다. 이 "썩은 고기 식물"별명은 Stapelia gigantea 및 Orbea variegata를 포함한 관련 속의 구성원뿐만 아니라 유사한 Stapelia 종을 나타낼 수도 있습니다. Stapelia grandiflora는 때때로 Stapelia flavirostris라는 이름으로도 불립니다. 
이 식물은 많은 잡종과 함께 매우 다양한 종입니다. 줄기는 직립 또는 오름차순 길이 9-10 (-30) cm, 지름 최대 3cm (보통 2cm 미만) 일 수 있습니다. 꽃은 Stapelia gigantea보다 벨벳 같고 크기가 작으며 다양한 모양과 색상으로 나타납니다. 꽃은 늦여름과 가을에 간헐적으로 생산됩니다.
"썩은 고기 식물"이라는 이름은 다른 수분 곤충이 드문 지역에서 파리를 유인하는 기술로 꽃에서 방출되는 냄새 때문입니다. 

 

형태
여러해살이풀  
줄기  높이 20cm, 폭 60cm 정도이다. 줄기가 연이어 무더기로 발생해 전체가 작은 관목형으로 자란다.
 잎은 없고 진초록의 줄기가 몸체를 이루고 있다.
  7~10월에 줄기 밑동에 어두운 자주색의 꽃이 피는데 1~3개씩 달린다.  꽃에는 붉은 실핏줄처럼 생긴 무늬가 나 있고, 꽃잎에는 동물의 겉껍질 같은 희고 여린 솜털이 촘촘히 나 있다. 꽃에서 생선 상한 악취가 나는데 파리를 유인하여 수분한다.
열매  

 

동정 포인트

 

참고
Stapelia grandiflora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여적

2014. 10. 14. 우리집 화분

'한반도식물 > 화훼원예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여뀌바늘  (0) 2014.10.31
물여뀌바늘(1)  (0) 2014.10.31
나비사랑초  (0) 2014.05.28
칼랑코에  (0) 2014.04.30
꽃기린  (0) 2014.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