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

진황정

by 풀꽃나무광 2014. 6. 1.

진황정  |  댓잎둥굴레, 대잎둥굴레(북한명)

Jin-hwang-jeong

Polygonatum falcatum A. Gray

 

○ 국명정보

진황정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조선식물명집 I II>(1949)

댓잎둥굴레 : 정태현, 도상봉, 이덕봉, 이휘재 <조선식물향명집>(1937)

○ 국명의 유래 
"진황정" 이라는 이름은 진짜[眞] 황정(黃精)이라는 뜻으로, 둥굴레와 유사하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황정은 선가에서 지초의 종류로 여겨 그것으로 땅의 정수를 얻을 수 있는 것이라 했다. <조선식물향명집>은 잎이 대나무의 잎과 둥굴레를 닮았다는 뜻에서 댓잎둥굴레로 기록했으나 조선식물명집에서 진황정으로 개칭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한국 식물 이름의 유래>

 

분류
 
백합과(Liliaceae) 둥굴레속(Polygonatum) 

  각시둥굴레 / 늦둥굴레 / 목포용둥굴레 / 산둥굴레 / 선둥굴레 / 왕둥굴레 / 용둥굴레 / 좁은둥굴레 / 종둥굴레 / 죽대 / 진황정 / 층층갈고리둥굴레 / 층층둥굴레 / 퉁둥굴레 / 둥굴레 / 제주둥굴레 

 

분포|자생지
 
  일본, 한국 | 인천광역시 도서, 충청남도 도서, 전라북도 도서, 전라남도 도서, 경상남도 도서, 제주도 등의 숲 속이나 들에 자란다.

 

형태
   여러해살이풀  

   땅속줄기  굵고 마디 사이가 짧으며 염주 모양으로 주기적으로 가늘어지는 부분이 있다. 
   줄기  키는 50-100cm, 원기둥 모양이다. 
     대나무 잎 같고 길이 8-15cm로서 타원형 또는 난형이며, 뒷면 맥에 돌기가 있다.
     5-6월에 피는데 잎겨드랑이에 3-5송이씩 산방상으로 달리며, 포는 없다. 화관은 녹백색이고 길이 17-23mm이다. 수술대는 길이 5-7mm이다. 꽃밥의 길이는 3mm쯤이다.
   열매  장과, 지름 8-10mm이며 검은 자주색으로 익는다.

 

동정 포인트 
  
1. 꽃을 받치는 포가 없고 잎이 타원형 또는 난형인 점에서 왕둥굴레와 비슷하나 지하경이 일정한 두께로 두껍지 않고 염주 모양으로 주기적으로 가늘어지는 부분이 있는 점이 다르다.

 

참고
   
한반도생물자원포털    https://www.nibr.go.kr/species/home/species/spc01001m.jsp?cls_id=52460&show_all_tab=Y&show_cls_nm_gbn=kr    
   이우철 <한국기준식물도감>

 

여적

  ▩ 진황정의 실체
  <대한식물도감>에는 진황정 사진이 실려 있는데 세밀화와 사진이 일치하지 않는다. <국가생물종정보시템>에도 사진 한 장 올려 있는데 잎만 나와 있고 꽃과 열매에 사진이 없어서 확인하기 어렵다. 내가 이 종을 처음 만난 것은 2010년 7월 통영 연화도에서다. 어느 폐가 옆 화단에 심어져 있는데 지금까지 봤던 둥굴레속과는 달리 열매가 많은 것은 7개가 될 정도로 많이 달려 있고 잎의 모양도 마치 대나무 잎과 비슷해 보였다. 지금까지 흔하게 만나본 둥굴레와는 다른 종이라 생각하고 도감을 찾아 진황정으로 동정을 하였다.  그러다가 이번 완도 조사에서 수목원 뒷산 백운봉 헬기장 근처에서 또 만났다. 이번에는 꽃이 확실하게 피어 있는 개체이다. 줄기도 확연히 크고 굵으며. 꽃이 5개가 더 될 정도로 많이 붙어 있다. 꽃을 받치는 포가 없고, 잎 모양이 타원형 또는 난형인 점에서 왕둥굴레와 유사하지만 잎 뒷면에 돌기 있다는데 자세히 확인을 해 보지 못했다. 찍은 사진을 확대해 보아도 돌기는 확인할 수 없다. 조릿대 사이에 나 있는데다가 아주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어서 채집하는데도 어려웠다. 뿌리를 온전히 달린 채 캐지 못하고 잘렸다. 지하경이 일정한 굵기로 굵지 않다.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며 일정한 간격으로 염주 모양으로 이어진다는데 이를 제대로 확인하지 못했다. 다시 만나면 뿌리와 잎 뒷면의 돌기를 다시 확인해야 진황정의 실체를 온전히 알 수 있을 것 같다. 진황정을 한약제로는 황정이란 이름으로 부른다. 층층갈고리둥굴레는 원황정이라하여 자양강장제로 쓰인다고 한다.

 

-줄기는 능선이 없고 원기둥형이다.

-잎 뒷면 맥 위에 돌기가 있어서 왕둥굴레와 구별된다는데 확대해 봐도 돌기를 확인할 수 없다.

2014. 05. 17. 전남 완도 백운봉
2014. 06. 07. 제주도 선돌
2010. 07. 15. 경남 통영 욕지도

'한반도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좀가지풀  (0) 2014.06.01
풀솜나물  (0) 2014.06.01
감나무  (0) 2014.05.30
구슬붕이(1)  (0) 2014.05.30
팥배나무  (0) 2014.0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