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외식물/캐나다에서 만난 식물

줄바늘꽃(20050725)

by 풀꽃나무광 2025. 1. 29.

줄바늘꽃(20050725) | 멍울바늘꽃, 몽올바늘꽃, Northern Asian willowherb, fringed willowherb, slender willow herb, and northern willow herb 

Jul-ba-neul-kkot

Epilobium ciliatum Raf. | 이명 Epilobium adenocaulon Hausskn. / Epilobium bergianum A.K.Skvortsov
Epilobium glandulosum Lehm. / Epilobium watsonii Barbey

 

 국명정보

줄바늘꽃 :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국명의 유래

"줄바늘꽃"이라는 이름은 ?

 

 분류체계

Plantae >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Rosidae (장미아강) > Myrtales (도금양목) > Onagraceae (바늘꽃과) > Epilobium (바늘꽃속) > ciliatum (줄바늘꽃)

가는민바늘꽃, 돌바늘꽃, 바늘꽃, 버들바늘꽃, 애기바늘꽃, 울릉바늘꽃, 좀바늘꽃, 줄바늘꽃, 큰바늘꽃, 호바늘꽃, 회령바늘꽃, 갯바늘꽃(재배), 고산바위바늘꽃 (재배), 도도바늘꽃 (재배), 산바늘꽃, 흰꽃고산바늘꽃 (재배)

 

 분포 | 자생지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남부 및 동아시아의 많은 지역이 원산지. 러시아 우수리, 캄차카, 일본, 중국, 북아메리카 알래스카 등 | 한반도 함북 습한 산지, 개울가, 강 주변 등에서 자란다.  일반적으로 습지에서 발생하지만 1,400 미터 미만의 고도에서 교란된 지역과 도로변을 포함한 다양한 서식지에서 발견 될 수 있습니다.

 

 개요

습한 산지, 개울가, 강 주변 등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 자라며, 높이 30~70cm, 가지가 갈라지고 능선이 있으며, 윗부분에 털이 많다. 잎은 마주나며 간혹 윗부분에서 어긋나기도 하고, 잎자루는 길이 1.8~4.0mm이다. 잎몸은 좁은 타원형 또는 피침형으로 길이 7~9cm, 폭 2~3cm, 밑부분은 둥글고 끝은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7~8월에 피는데 연한 붉은색 또는 흰색으로 윗부분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린다. 꽃받침은 4갈래로 갈라지며, 길이 3~4mm, 갈래조각은 피침형, 끝은 뾰족하다. 꽃잎은 4개, 도란형, 길이 5~7mm, 끝은 오목하다. 암술머리는 둥글다. 열매는 삭과, 원통형으로 길이 6cm쯤이다. 8~10월에 익으며 씨는 겉에 젖꼭지 모양의 돌기가 있으며, 흰색 털이 있다. 한반도 함경북도에 자생하며, 러시아 우수리, 캄차카, 일본, 중국, 북아메리카 알래스카 등에 분포한다. 국내에 분포하는 바늘꽃속의 다른 식물과 비교하여 잎자루가 길고 잎 가장자리의 톱니가 둔하며, 씨앗 겉에 젖꼭지 같은 돌기가 이랑 모양으로 배열하므로 구분된다. 약용한다. 멍울바늘꽃, 몽올바늘꽃이라고도 한다.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Epilobium ciliatum은 높이가 1.5 미터를 초과하는 다년생 식물입니다. 그것은 두꺼운 줄무늬가 있는 창 모양의 잎을 가지고 있으며 식물의 바닥을 향해 최대 15cm 길이일 수 있습니다. 잎, 줄기 및 꽃차례는 뻣뻣한 털과 샘점으로 덮여 있습니다. 4개의 꽃받침이 있습니다. 규칙적인 나팔 모양의 꽃에는 네 개의 꽃잎이 있는데, 너무 깊게 홈이 있어 네 쌍처럼 보입니다. 그들은 흰색에서 밝은 자주색 또는 어두운 줄무늬가있는 분홍색입니다. 여덟 개의 수술과 곤봉 모양의 암술머리가 있다. 열매는 길이가 최대 10cm인 좁고 털이 많은 4개의 방이 있는 캡슐로 긴 줄기에 붙어 있습니다. 씨앗은 솜털이 많아 바람을 타고 먼 거리를 떠다닐 수 있습니다. Epilobium ciliatum - Wikipedia

 

 동정 포인트

1. 국내에 분포하는 바늘꽃속의 다른 식물과 비교하여 잎자루가 길고 잎 가장자리의 톱니가 둔하며, 씨앗 겉에 젖꼭지 같은 돌기가 이랑 모양으로 배열하므로 구분된다. 

 

 참고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Epilobium ciliatum - Wikipedia

 

 여적

2005. 07. 25. 캐나다 록키

'해외식물 > 캐나다에서 만난 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럽개미자리(20050725)  (0) 2025.01.29
서양산딸기(20050725)  (0) 2025.01.29
Triantha glutinosa (20240724)  (0) 2025.01.29
Penstemon confertus(20050723)  (0) 2025.01.29
물싸리(20050723)  (0) 2025.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