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외식물/중앙아시아에서 만난 식물

조뱅이(20240618)

by 풀꽃나무광 2024. 6. 24.

조뱅이(20240618) | 자라귀, 조바리, 지칭개, 조병이

Jo-baeng-i

Breea segeta (Bunge) Kitam. 

 

 국명정보
조뱅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조선식물향명집>(1937)

 국명의 유래 
"조뱅이"라는 이름은 엉겅퀴에 큰 가시가 있다고 하여 한자로 대계(大葪)라고 하면서 그 향명을 대거시(大居塞, 한거싀)라 한 것에 대응하여, 조그마한 가시가 있다고 하여 소계(小葪)라 하면서 그 향명을 (曺方居塞, 조방거싀)라 한 것에서 유래했다. 조방거시에서 조방은 작다는 뜻이고 거싀는 가시라는 뜻이다. 이후 조방거싀>조방가ㅅ·ㅣ>조방이(죠방이)>조뱅이로로 변화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한국 식물 이름의 유래>

 

○ 분류
  국화과(Asteraceae)>엉겅퀴아과(Carduoideae)>엉겅퀴족(Cardueae)>조뱅이속(Breea)

 조뱅이 / 큰조뱅이 / 흰조뱅이

 

 분포|자생지
  중국(동북부), 일본, 한국 | 전국의 고도가 낮은 산지의 들판, 길가, 공터 햇볕이 잘 드는 경사가 낮은 곳의 물기가 있는 토양에 주로 자란다.

 

 형태
   여러해살이풀  
   줄기   곧추서며, 가지가 거의 갈라지지 않고, 높이 20~50cm다. 
     어긋나며, 긴 타원상 피침형, 길이 7~10cm, 폭, 2~3cm, 가장자리에 굳은 가시털이 있다.
     5~8월에 암수딴포기에 피며, 줄기 끝의 머리모양꽃차례에 달리고, 자주색이다. 꽃차례는 지름 3cm쯤이다. 총포는 단지 모양 또는 통 모양이다. 꽃은 모두 관모양꽃이다. 화관은 좁은 부분과 넓은 부분이 뚜렷하게 구분되며, 좁은 부분이 3~4배 길다. 암꽃은 길이 2cm, 수꽃은 길이 2.5cm쯤이다. 
   열매   수과이며, 우산털이 있는데 화관보다 짧다.

 

 동정 포인트 

 1. 전국적으로 자라는 큰조뱅이는 키가 작고, 가지가 거의 갈라지지 안으며 잎 가장자리가 갈라지지 않는다.---조뱅이 

 2. 북부지방이나 바닷가에 자라는 큰조뱅이는 줄기가 더 크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잎은 가장자리가 갈라진다.--큰조뱅이

 

 활용

  어린잎과 줄기는 나물로 먹는다. 해열 작용, 해독 작용과 혈액 정화, 지혈 작용이 있어 중국에서는 전 식물체를 토혈증, 옹종(carbuncle) 등을 치료하기 위해 약으로 쓰기도 한다.

 

 참고

 본 분류군은 원래 엉겅퀴속(Cirsium)에 속하는 식물로 발표되었다. Kitamura에 의해 조뱅이속으로 옮겨진 이후 한국과 일본의 대부분의 학자들은 조뱅이속을 엉겅퀴속과 구분되는 독립된 속으로 인정한다. 그러나 중국식물지에서는 조뱅이를 엉겅퀴속에 분류하고 있다(Flora of China). 뿐만 아니라, 조뱅이와 큰조뱅이(B. setosa (M. Bieb.) Kitam.)를 하나의 종으로 인식하고 있다. 조뱅이속 식물은 엉겅퀴속과 달리 암꽃과 수꽃이 다른 개체에 달리는 암수딴포기인 점에서 암술과 수술이 한 개체 한 꽃 안에 달려 있는 양성화를 갖는 엉겅퀴 종류와 구분된다. 엉겅퀴속과 조뱅이속의 유연관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조뱅이 종류에서 나타나는 자웅이주의 형태가 엉겅퀴 종류 내에서 진화한 것인지 연구할 필요가 있다.
 참고 : 한반도생물자원포털

 이우철 <한국기준식물도감> 

 

 여적

2024. 05. 18. 카자흐스탄 비슈케트

'해외식물 > 중앙아시아에서 만난 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gustrum vulgare(20240518)  (0) 2024.06.24
털고광나무(20240518)  (0) 2024.06.24
큰방가지똥(20240518)  (0) 2024.06.22
Lactuca perennis(20240518)  (0) 2024.06.22
서양메꽃(20240518)  (0) 2024.0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