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흰나비(20240626)
Dae-man-hin-na-bi
Pieris canidia (Linnaeus, 1768) | 원기재명 Papilio canidia Linnaeus, 1768
이명 Artogeia canidia (Linnaeus, 1768) (대만흰나비) / Pieris canidia aestiva Bang-Hass, 1926
Pieris canidia canidia (Linnaeus, 1768) / Pieris (Artogeia) canidia (Sparrman, 1768)
○ 분류체계
Animalia > Arthropoda (절지동물문) > Hexapoda (육각아문) > Insecta (곤충강) > Lepidoptera (나비목) > Papilionoidea (호랑나비상과) > Pieridae (흰나비과) > Pierinae (흰나비아과) > Pierini > Pieris (흰나비속) > canidia (대만흰나비)
대만흰나비 Pieris canidia (Linnaeus, 1768)
○ 분포
일본, 중국, 중앙아시아 등지 | 우리나라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 서식한다.
○ 개요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 서식하는 흰나비과 곤충이다. 날개 편 길이는 36~46mm이다. 날개 윗면은 흰색을 띠고, 기부 쪽에 검은색 인편이 퍼져 있다. 앞날개 아랫면은 윗면과 비슷하나, 뒷날개 아랫면에는 검은색 인편이 폭넓게 퍼져 있다. 앞날개 및 뒷날개 외연 시맥 끝부분에 검은색 점무늬가 발달해 배추흰나비와 구별된다. 암컷은 수컷에 비해 앞날개 윗면과 뒷날개 시맥 끝의 검은색 점무늬가 크게 발달한다. 연 3~4회 발생하며, 봄형은 4월, 여름형은 5월 말에서 10월에 걸쳐 나타난다. 번데기로 월동한다.
○ 동정 포인트
앞날개 및 뒷날개 외연 시맥 끝부분에 검은색 점무늬가 발달해 배추흰나비와 구별된다.
○ 참고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nibr.go.kr)
○ 여적
![](https://blog.kakaocdn.net/dn/bfry89/btsIdxaqjL6/kI4y5FNDzALLaEYJDhA8A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GWLWj/btsIcORpN8j/Kx1ZRtiWleXcdHdql9Ytw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4EAkU/btsIeFZwJmO/5tFtGP1ZmFks9FU8pbKKa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GNIeE/btsIehdAySi/EEURU1DCpkpUYBF4Nn9Kh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eKGU5/btsIeE7ovFb/KZCktKdytavbKhmIERe0j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dWa62z/btsIeGYsosl/C4MpygkBP4ltgsjne3baX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wIZzF/btsH4BwvTrC/XZVQKbagXzFYIukGvau5d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98NFn/btsH3ym0T5P/Syp3giRZKiCAvWoft3dmO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cLl3M/btsH4GYHNE8/UdS29d0UHuhBcVrvilWvYK/img.jpg)
'곤충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흰불나방 애벌레(20240617) (0) | 2024.06.17 |
---|---|
된장잠자리?(20240616) (0) | 2024.06.17 |
맵시곱추밤나방 애벌레(20240616) (0) | 2024.06.17 |
인도볼록진딧물(2024) (0) | 2024.06.17 |
노랑나비(20240616) (0) | 2024.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