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등우단털파리(20240614) | 사랑벌레
Bulgeun-deung-u-dan-teol-pa-ri
Plecia longiforceps Duda, 1934 |
○ 분류체계
동물계(Animalia) > 절지동물문(Arthropoda) > 곤충강(Insecta) > 파리목(Diptera) > 털파리과(Bibionidae) > 우단털파리아과(Pleciinae) > 우단털파리속(Plecia) > 붉은등우단털파리(P. longiforceps)
붉은등우단털파리 Plecia longiforceps Duda, 1934
○ 분포
2022년 7월 초, 인천광역시, 경기도 고양시 및 서울 북서부에 위치한 은평구, 서대문구, 마포구, 용산구 인근에 개체수가 폭증했다. 정확한 이유는 불명이지만 장마로 인해 급격하게 습해진 기후와 북한산 등 인근에 산이 많고 불광천, 홍제천, 창릉천과 같은 대형 하천을 끼고 있는 지역 특성 때문으로 추정된다. 은평구 봉산에서는 이전에도 대벌레가 대량으로 발생했던 적이 있었다. 붉은등우단털파리의 경우도 2020년부터 여름철에 많이 출몰했지만 2022년을 기점으로 그 개체수가 더욱 증가했다.
○ 개요
붉은등우단털파리는 털파리과 우단털파리속에 속하는 파리의 한 종으로, 성충이 된 이후에는 암수가 함께 붙어 다니면서 비행하거나 먹이를 먹고, 밤에는 여러 차례 긴 시간 짝짓기를 하는 것이 특징이다.
2022년 수도권 대량발생 문제로 이슈화되기 전까지는 국내에 보고되지 않았으며, Plecia속의 털파리류를 통칭하는 '사랑벌레'라는 이름으로만 불리다 2023년에 '붉은등우단털파리'라는 국명이 붙었다. 다만 '붉은 등'이 특징인 것은 비단 이 종만 아니라 우단털파리속(Plecia) 및 계피우단털파리속(Penthetria)의 다른 파리들도 마찬가지이다.
당초 미국종인 플레시아 니악티카(P. nearctica)나 자생종인 계피우단털파리(P. japonica)로 언론에 보도되었지만, 국립생물자원관의 유전자 분석에 의하면 그동안 한국에 알려지지 않은[1] '미기록종'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논문을 통해 중국 남부와 대만, 오키나와에 분포하던 붉은등우단털파리(Plecia longiforceps) 종으로 밝혀졌다. 플레시아 니악티카는 북미에만 분포하며, 계피우단털파리와는 속부터 다르다.
○ 동정 포인트
○ 참고
서울 곳곳 털파리떼 기승…그런데 “절대 죽이지 말라”는 전문가들, 왜? (msn.com)
○ 여적
![](https://blog.kakaocdn.net/dn/dbBqzE/btsH1OCc6FI/M3m9sCwnP865F239WnlFQ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ZiO0o/btsHZ6dn306/PdKp8W9YN7xxyah9C2scS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A4nse/btsH14kCclx/27sH4YmQyGElo61zKCCMK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k3zkO/btsHZ7QSLpc/4AIWPoHWyX8uCrVkXN3K5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ZL2Iw/btsH1D8CxjU/yEho4am7TNH5tqdgQFAa6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QMSoR/btsH1ndLWKd/uZOPoFkUHoK0z23k9Lvt6K/img.jpg)
'곤충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큰각시들명나방(20240616) (0) | 2024.06.16 |
---|---|
산바퀴 약충(20240613) (0) | 2024.06.16 |
배추흰나비(20240614) (0) | 2024.06.15 |
누구의 애벌레일까?(20240613) (0) | 2024.06.15 |
큰흰줄표범나비(20240618) (0) | 2024.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