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곤충류

어깨무늬풍뎅이(20240513)

by 풀꽃나무광 2024. 5. 14.

어깨무늬풍뎅이(20240513)

Eo-kkae-mu-ni-pung-deng-i
Blitopertha conspurcata (Harold, 1878)  | 원기재명 Phyllopertha conspurcata Harold, 1878  | 이명 Exomala conspurcata

 

 분류체계

Animalia > Arthropoda (절지동물문) > Hexapoda (육각아문) > Insecta (곤충강) > Coleoptera (딱정벌레목) > Polyphaga (풍뎅이아목) > Scarabaeiformia (풍뎅이하목) > Scarabaeoidea (풍뎅이상과) > Rutelidae (풍뎅이과) > Anomalini (참풍뎅이족) > Anomalina (줄풍뎅이아족) > Blitopertha (연노랑풍뎅이속) > conspurcata (어깨무늬풍뎅이)

어깨무늬풍뎅이 Blitopertha conspurcata (Harold, 1878) 

 

 분포

중국 북부, 시베리아, 일본 | 우리나라 전역에 서식한다.

 

 개요

절지동물문 곤충강 딱정벌레목에 속하는 곤충이다. 몸은 길이 8~11mm, 폭 4.5~5.5mm로 등 쪽은 구릿빛을 띠는 흑색이며, 온몸이 백색 내지 약간 검은 황색의 긴 털로 덮여 있는데 수컷이 더 뚜렷하다. 딱지날개는 짧아서 전미절판이 노출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황갈색인데 가늘고 길이가 다양한 갈색 무늬가 흩어져 있다. 그러나 개체변이가 매우 심하며, 온몸이 흑색인 형도 있다. 머리방패는 짧으나 넓고, 앞가장자리는 높게 반전한 직선형이며, 점각은 크고 깊으며 가로로 주름 모양이다. 앞가슴등판은 점각이 앞쪽은 가로 주름 모양이고 뒤쪽은 그물 모양이다. 딱지날개는 조구 점각이 가늘고 길며 불규칙하게 조밀하여 열상인 간실 점각과 혼동된다. 제주도를 포함한 우리나라 전 지역에 서식한다. 세계적으로는 중국 북부, 시베리아, 일본에 분포한다.

 

 동정 포인트

 

 참고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nibr.go.kr)

 

 여적

찔레꽃이 한창이다. 어떤 곤충이 붙어 있나 살펴봤다. 풍뎅이 종류처럼 생긴 녀석들이 머리를 쳐박고 꿀을 빨아먹는지 꽃가루른 먹는지 푹 빠져 있다. 자세히 배 부분도 찍어 보려고 꽃 가지를 떼어내려는데 풀숲으로 우수수 떨어져 버린다. 자취를 찾을 수 없다. 한 녀석을 붙잡아서 자세히 관찰하지 못했다. 꽃 속에 파묻혀 있으니 꽃무지 종류가 아닐까 생각했다. 한 샘은 보내 질문했ㄲ더니 어깨무늬풍뎅이와 유사하다고 도감 사진과 함께 보내왔다.
2024. 05. 13. 토당근린공원

'곤충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땅강아지(20240527)  (0) 2024.05.28
왜알락꽃벌(20240512)  (0) 2024.05.14
무당벌레(20240509)  (0) 2024.05.11
푸른부전나비(20240510)  (0) 2024.05.11
작은주홍부전나비(20240510)  (0) 2024.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