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관갈퀴나물(20240503) | 왕관나비나물
Wang-gwan-gal-kwi-na-mul
Securigera varia (L.) Lassen
※우리나라에 귀화하여 한강변에서도 자란다.
○ 국명 정보
왕관갈퀴나물 : 이 등,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 톱니대극(Euphorbia dentate Michx.)과 왕관갈퀴나물(Securigera varia (L.) Lassen)" Kor. J. Pl. Tax. 39 : 117 (2009)
○ 국명의 유래
"왕관 + 갈퀴나물", 왕관갈퀴나물이라는 이름은 나비 모양의 꽃 여러 송이가 모여 피는 모양이 둥근 왕관을 연상시키는 데서 유래한다.
○ 분류
콩과(Leguminosae) 왕관갈퀴나물속(Securigera)
왕관갈퀴나물
○ 분포|자생지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원산 | 서울 한강 둔치, 울산 지역에서 자란다.
○ 형태
생활형 여러해살이풀
줄기 높이 30-120cm 정도, 많은 가지가 모여난다. 전체에 털이 없다.
잎 잎은 홀수 깃꼴겹잎, 잎몸은 15-25개의 작은잎으로 이루어진다. 작은잎은 타원형으로 끝이 뭉툭하거나 주맥이 약간 돌출되며 기부는 원저이다. 턱잎은 피침형이며 길이는 2mm정도이다.
꽃 꽃은 5-8월에 피며 담홍색-백색이고 가지 끝 쪽의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길이 5-10cm의 꽃자루 끝에 20개 내외의 꽃이 산형으로 붙는다. 꽃은 길이 1-1.5cm, 용골판의 끝은 진한 홍자색을 띤다.
열매 길이 2-8cm로 4개의 모서리가 있고 3-12개의 소절과로 나누어진다. 종자는 길이 4mm이다.
○ 동정 포인트
1. 많은 가지가 모여나고 전체에 털이 없다.
○ 활용
녹비식물 또는 경사지 지피식물로 식재한다.
○ 참고
한반의 생물다양성
이우철 <한국기준식물도감>
○ 여적
흰꽃광대나물을 보러 갔다가 헛걸음했다. 철교 아래쪽에 있다는 정보를 듣고 가서 눈씻고 찾아보아도 씨도 없다. 그 많던 것들이 일순간에 사라지다니 알 수 없는 일이다. 대효는 작년에도 채집하러 갔다는데 찾지 못했다고 한다. 수년 전 봤던, 그리고 캐나다 온타리오에서도 봤던 왕관갈퀴나물은 더욱 무성하게 퍼져 있다. 아직 꽃은 피지 않았지만. |
'한반도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채붓꽃(20240510) (0) | 2024.05.11 |
---|---|
각시갈퀴나물(20240503) (0) | 2024.05.05 |
서양산딸기(20240504) (0) | 2024.05.04 |
얼치기완두(20240429) (0) | 2024.05.02 |
칠엽수(20240430) (0) | 2024.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