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

각시둥굴레(20240423)

by 풀꽃나무광 2024. 4. 24.

각시둥굴레(20240423) | 둥굴레아재비, 각씨둥굴레, 애기둥글레, 좀각시둥굴레, 한라각시둥굴레

Gak-si-dung-gul-re

Polygonatum humile Fisch. ex Maxim.

각시둥굴레 원본 https://ihogyun.tistory.com/2762723

 

○ 명정보

각시둥굴레 : <한국식물명감>

각씨둥굴레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조선식물명집 I II>(1949)

둥굴레아재비 : 정태현, 도상봉, 이덕봉, 이휘재 <조선식물향명집>(1937)

○ 국명의 유래 
"각시 + 둥굴레"  각시둥굴레라는 이름은 둥굴레를 닮았으나 각시처럼 식물제가 작고 귀엽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조선식물향명집>에서는 둥굴레를 닮았다는 뜻에서 둥굴레아재비를 신칭해 기록했으나 <조선식물명집>에서 각씨둥굴레를 거쳐 <한국식물명감>에서 각시둥굴레로 정착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한국 식물 이름의 유래>

 

 분류
 백합과(Liliaceae) 둥굴레속(Polygonatum)

 종둥굴레 / 목포용둥굴레 / 진황정 / 선둥굴레 / 각시둥굴레 / 퉁둘굴레 / 늦둥굴레 / 용둥굴레 / 죽대 / 풍도둥굴레 / 둥굴레 / 무늬둥굴레 / 층층갈고리둥굴레 / 암수둥굴레 / 층층둥굴레 / 산둥굴레 / 안면용둥굴레 

 

 분포|자생지
 
  중국(동북부), 러시아(쿠릴열도, 사할린섬, 시베리아), 일본, 한국의 온대에서 난대 | 전국 깊은 산이나 들의 숲 가장자리 풀밭에 난다.

 형태
   여러해살이
풀  
   줄기  원줄기는 곧추 자라고 높이 15-30cm가량이며 능각이 있다.
   뿌리줄기  끈같이 생겼으며 옆으로 뻗으면서 번식한다.

     어긋나고 2줄로 배열되며 길이 4-7cm, 폭 1.5-3cm로서 엽병이 없고 긴 타원형 둔두이며 뒷면 맥위에 잔돌기같은 털이 있다.
     5-6월에 피고 누른 빛과 푸른 빛이 도는 백색이며 길이 15-18mm로서 통형이고 엽액에 1-2개씩 달린다. 소화경은 길이 7-15mm이다. 수술대는 잔돌기가 약간 있고 꽃밥은 삼각상 피침형이며 길이 3-3.5mm로서 수술대보다 약간 짧다.
   열매  장과, 둥글고 흑색으로 익는다.

 

 동정 포인트 
 둥굴레 종류들 가운데 초장이 가장 짧기 때문에 "각시둥굴레"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참고
   
 이우철 <한국기준식물도감>

 

 여적

2024. 04. 23. 서오릉

'한반도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래사초(20240424)  (0) 2024.04.24
타래붓꽃(20240424)  (0) 2024.04.24
나도개감채(20240423)  (0) 2024.04.24
황새냉이(20240423)  (0) 2024.04.24
병꽃나무(20240423)  (0) 2024.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