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버섯류

절구무당버섯(20230627)

by 풀꽃나무광 2023. 6. 27.

절구무당버섯(20230627) | 절구버섯

Jeol-gu-beo-seot

Russula nigricans (Bull.) Fr. 1838 | 이명 Russula eccentrica Peck 1911

※절구버섯=>절구무당버섯으로 국명 개칭(2017)

 

 분류

Basidiomycota 담자균문 > Agaricomycetes 주름버섯강 > Russulales 무당버섯목 > Russulaceae 무당버섯과 > Russula 무당버섯속

우리나라 무당버섯속에는 57종가량이 분포판다.

 

 분포

한국 전역, 아시아 전역 및 유럽, 북아메리카대륙 | 여름~가을, 활엽수림 또는 침엽수림 내의 땅 위에서 산생~군생한다. 

 

 개요

무당버섯목 무당버섯과의 균류로, 활엽수림 또는 침엽수림에서 자란다. 버섯갓은 지름 5-15cm로, 평반구형이었다가 오목한 평반구형 또는 깔때기 형태로 변한다. 갓 표면은 건조하며, 담갈색 또는 회색을 띠었다가 검은색이 된다. 주름살은 크림색 또는 살구색이며, 성기고, 완전붙은형 또는 약간내린형이다. 버섯대는 길이 3-6cm, 굵기 1-2cm이며, 원통형이다. 표면은 흰색이나, 상처가 나면 적갈색 얼룩이 생겼다가 검은색으로 변하게 된다. 포자는 크기 7-9.0×6-7.5µm으로, 유구형이며, 망목상을 이루고, 표면에 작은 돌기가 나 있다. 우리나라를 포함한 아시아 전역 및 유럽, 북아메리카대륙에서 찾아볼 수 있다.

 

 활용

식용 가능함

 

 동정 포인트

절구무당버섯 절구무당버섯아재비
상처 시 적변을 거쳐 검은색으로 현한다.
자루는 굵고 단단하다.
상처 시 서서히 적색을 띤다.
자루는 희미한 세로 주름이 있다.

※흑갈색무당버섯은 상처 시 적변 없이 검은색으로 변한다.

 

 참고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박완희, 이지헌 <새로운 한국의 버섯> 2011. (주)교학사

김양섭, 석순자, 박영준 <한국의 버섯도감> 2017 푸른행복

 

 여적

절구무당버섯? 절구무당버섯아재비?
겉으로 봐선 이 두 가지가 거의 같아 보여서 구분이 되지 않는다.
오늘은 기필코 뚜렷한 구별을 위해 오후 4시 47분에 촬영 사진을 찌고 칼로 자루에 상처를 내어 비닐봉투에 담아 시간을 두고 관찰해 보기로 했다. 10여 분 지나니 암회갈색으로 변색된다. 집에 와서 6시에 보니 검은색으로 변해 있다.
이로 보아 이것은 절구무당버섯이 확실하다.

2023. 07. 18. 경기 고양 토당근린공원

 

2023. 06. 27. 절구무당버섯

'버섯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큰말불버섯(20230627)  (0) 2023.06.28
큰낙엽버섯(20230627)  (0) 2023.06.27
담황색주름버섯(20230627)  (0) 2023.06.27
검은무당버섯(20230627)  (0) 2023.06.27
덧부치버섯(20230627)  (0) 2023.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