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산제비꽃? | 다른국명
wan-san-je-bi-kkot
Viola wansanensis Y. Lee | 다른학명
※남산제비꽃과 제비꽃의 잡종형이다.
○ 국명정보
완산제비꽃 : 이영노 <한국식물도감>(1996)
○ 국명의 유래
"완산 + 제비꽃", 완산제비꽃이라는 이름은 전라북도 완산에 나는 제비꽃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제비꽃과(Violaceae) 제비꽃속(Viola)
갑산제비꽃 / 고깔제비꽃 / 금강제비꽃 / 긴잎제비꽃 / 넓은잎제비꽃 / 노랑제비꽃 / 둥근털제비꽃 / 뫼제비꽃 / 삼색제비꽃 / 서울제비꽃 / 선제비꽃 / 섬제비꽃 애기금강제비꽃 / 왕제비꽃 / 왜제비꽃 / 왜졸방제비꽃 / 우산제비꽃 / 자주잎제비꽃 / 잔털제비꽃 / 장백제비꽃 / 제비꽃 / 졸방제비꽃 / 큰졸방제비꽃 / 털제비꽃/ 호제비꽃 / 흰젖제비꽃 / 흰제비꽃 / 흰털제비꽃 / 낚시제비꽃 / 남산제비꽃 / 민둥뫼제비꽃 / 알록제비꽃 / 콩제비꽃 / 태백제비꽃 / 흰갑산제비꽃/
○ 분포 | 자생지
|
○ 형태
생육형 여러해살이풀
줄기
잎 타원형이고 단풍제비꽃처럼 갈라졌으나 불규칙하게 덜 갈라지며 잎자루는 4cm 정도이다.
꽃 자주색에 흰색이 섞여 피며 옆 꽃잎에 털이 있다.
열매 과
○ 동정 포인트
1.
○ 참고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이우철 <한국기준식물도감>
○ 여적
잎 가장자리에 큰 톱니가 있다. 꽃이 일찍 피었는지 보이지 않고 결실이 다 되었다. 잎 자루에 미약하나마 날개가 있다. 2m쯤 떨어진 옆에는 제비꽃이 예쁘게 피어 있다. 창덕제비꽃인가 생각했다. 유기억 <한반도 제비꽃> 도감을 보니 잎가장자리에 거치가 있는 형으로 창덕제비꽃 외에 완산제비꽃이 있다. 꽃이 없으니 정확한 동정은 어렵지만 잎의 모양으로 봐선 창덕제비꽃보다는 완산제비꽃에 더 가까워 보인다. 내년 꽃이 필 때 가서 꽃을 확인해 봐야겠다. |
-이것은 2m쯤 떨어진 곳에 꽃이 핀 제비꽃, 잎가장자리에 거치가 전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