으름덩굴(2) | 으름, 으흐름넝굴, 목통, 물외, 연복자(燕覆子), 임하부인(林下夫人)
Eu-reum-deong-gul
Akebia quinata (Thunb.) Decne.
○ 국명정보
-으름덩굴(목통) ;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으름 ;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목통
○ 국명의 유래
1. "으름 + 덩굴", 으름덩굴이라는 이름은 <향약구급방>의 '伊屹烏音'(이흘음) 및 <구급간이방언해>의 '이흐름'이라는 표현에서 유래했다. 줄기에 구멍이 있어 공기나 물이 잘 통하고 소변 불통 등을 치료하는 약재로 사용한 점, 그리고 흐르다 의 15세기 표현도 흐르다인 점에 비추어 이흘림 또는 이흐름은 이러한 뜻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추정한다. 다만 이흘음 또는 이흐름의 정확한 어원이나 의미는 알려져 있지 않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한국 식물 이름의 유래>
2. -열매를 먹다가 씨앗을 씹으면 그 느낌이 얼음 같기도 하고 과육이 투명한 얼음 빛깔을 띤다고 하여 ‘으름’이라는 이름을 얻었단다.
-열매 모양이 여인의 음부를 닮아서 얻어진 별명이라고 한다.(잘 익어 벌어진 열매의 모습이 여인의 깊은 속살, 그 은밀한 곳을 상상하며 지어 낸 짓궂은 이름이라는데 엉큼하거나 외설스럽지 않은 익살로 오히려 미소가 지어진다.) 출전: https://munjang.or.kr/archives/135421
○ 분류
으름덩굴과(Rardizabalaceae) 으름덩굴속(Akebia)
으름덩굴 / 여덟잎으름 / 삼엽으름덩굴
○ 분포|자생지
중국(산둥반도 남부), 일본(혼슈 이남), 한국 | 황해도 이남의 산지에 흔히 자란다.
○ 형태
수형 낙엽 덩굴성 목본이며 길이 7m 정도 자란다.
수피 수피는 갈색이며 겨울눈은 적갈색이다.
잎 새가지에서는 어긋나지만 오래된 가지에서는 모여 난다. 작은잎은 5-7개로 이루어진 장상복엽이고 길이 3-5cm의 도란형 또는 타원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표면은 진한 녹색이며 뒷면은 흰빛이 돈다. 잎자루는 길이 4-10cm이다.
꽃 암수한그루이며, 꽃은 4-5월에 짧은가지 끝ㅇ의 잎 사이에서 나온 총상꽃차례에 달린다. 수꽃은 꽃차례의 끝에 4-8개씩 달리며, 작은꽃자루는 길이 1-2cm이다. 꽃잎은 3(5)개이고 연한 자주색을 띠며, 길이 6-8mm의 고깔상 광난형이다. 수술은 꽃잎보다 짧다. 암꽃은 수꽃보다 훨씬 크고 꽃차례의 기부에 1-3개씩 달린며, 작은꽃자루는 길이 4-5cm이다.
열매 골돌과, 길이는 5-10cm의 타원형이며 익으면 세로로 갈라져서 과육을 드러낸다. 종자는 장타원형상이고 다소 납작하다.
○ 동정 포인트
1. 멀꿀에 비해 잎은 낙엽, 꽃받침조각은 3개, 수술은 떨어져 나오고, 과실은 한 줄로 열린다. (*멀꿀은 익어도 벌어지지 않는다.)
2. 잎이 8개인 것을 여덟잎으름으로 구분하기도 하지만 종내 변이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 참고
김진석, 김태영 <한국의 나무>
※열매는 바나나 맛과 유사하지만 종자가 많이 들어 있어서 먹기 불편하다.
○ 여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