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벼과

잔디

by 풀꽃나무광 2022. 1. 23.

잔디 | 잔듸, 푸른잔디

Jan-di

Zoysia japonica Steud. | 다른학명

 

 국명정보

잔디 : <우리나라식물명감>

잔듸 : 정태현, 도상봉, 이덕봉, 이휘재 <조선식물향명집>(1937)

 

 국명의 유래

잔디라는 이름은 '잘(다) + ㄴ + 뒤/ㅅㄷㅟ/ㅂㄷㅟㅂㄷㅚ(茅)'로 이루어졌다. 크기가 작은 띠 종류의 풀이란 뜻에서 유래했다. '젼ㅂㄷㅚ>쟘ㅂㄷㅟ>잔듸>잔디'의 변화 과정을 거쳐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한국 식물 이름의 유래>

 

 분류체계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Liliopsida 백합강 > Cyperales 사초목 > Poaceae 벼과 > Zoysia 잔디속

갯잔디 Zoysia sinica Hance
금잔디 Zoysia matrella var. pacifica Goudswaard
남방잔디 Zoysia matrella (L.) Merr.
왕잔디 Zoysia macrostachya Franch. & Sav.
푸른잔디 Zoysia japonica var. pallida Nakai ex Honda

 

 분포 | 자생지
한국, 일본, 타이완, 중국 등 | 전국의 해가 잘 비추는 풀밭이나 길가에서 자란다.

 

 형태

생육형  여러해살이풀

줄기  단단하고 긴 뿌리줄기가 땅속 깊이 뻗으며, 마디에서 줄기와 뿌리를 낸다. 땅 위로 나온 줄기는 15~20cm 정도 자란다.
잎  어긋나며, 옆으로 퍼지고, 피침형으로 길이 3~5cm, 너비 2~5mm이다. 마르면 안쪽으로 말려 대롱처럼 되기도 한다. 잎끝이 굳은 갈색 가시로 되어 닿으면 아프고 입집 입구에 긴 털이 빽빽이 달리고, 입혀에도 긴 털이 줄을 지어 달린다. 
 5~6월에 피고 총상꽃차례에 무리 지어 피는데, 꽃차례는 길이 3~5cm로 곧추선다. 꽃차례 축에는 마디가 없고, 짧은 가지 끝에 작은이삭이 1개씩 달린다. 포영은 1개로 자줏빛이 돌며, 호영은 외영보다 길다.
열매 영과,  6월에 익는다. 

 

 동정 포인트

1. 왕잔디에 비해 줄기가 땅 위를 기며, 작은이삭 길이가 2~3.5mm로 짧아 구분되며, 금잔디에 비해 꽃차례 축에 마디가 없고, 잎의 너비가 2~5mm로 상대적으로 넓어 구분된다. 

 

황용

관상용으로 심는다. 공원, 골프장, 사방, 분묘사초용으로 이용한다.

 

 참고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이우철 <한국기준식물도감>

 

 여적

 

2022. 04. 26. 제주도 서귀포 예래천
2004. 05. 29. 서울 중랑천변

'한반도식물 > 벼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쇠돌피(2)  (0) 2022.04.15
염주(1)  (0) 2022.03.20
물참새피  (0) 2022.01.22
  (0) 2022.01.22
억새(1)  (0) 2021.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