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다리버섯(4) | 북한명 : 살조개버섯
Deok-da-ri-beo-seot
Laetiporus sulphureus (Bull.) Murrill 1920
○ 분류
Basidiomycota 담자균문 > Agaricomycetes 주름버섯강 > Polyporales 구멍장이버섯목 > Fomitopsidaceae 잔나비버섯과 > Laetiporus 덕다리버섯속
붉은덕다리버섯 Laetiporus miniatus (Jungh.) Overeem 1925
○ 분포
한국, 일본 등 북반구 온대지역 | 1년 내내 활엽수나 침엽수의 그루터기 또는 드물게 침엽수의 그루터기나 줄기에 무리지어 나며 부생생활을 한다.
○ 개요
갈색부후를 일으키는 목재부후균이다. 버섯갓의 크기는 가로가 5~20cm, 세로는 4~12cm이며 두께는0.5~2.5cm이고, 반원형 또는 부채꼴이다. 갓은 황색 또는 밝은 오렌지 황색에서 퇴색하고, 미세한 털이 있기도 하며 띠가 있다. 가장자리도 같은 색이며 얇고 물결형이며 얕게 갈라진다. 살은 백색 또는 연한 황색이고 처음에는 연하다가 단단해진다. 관공의 길이는 0.1~0.4cm이며 유황색이고, 구멍은 각진형 또는 불규칙한 모양이고 벽은 얇으며 갈라진다. 포자 크기는 5.5~7×4~5μm로 무색의 난형 또는 아구형이며 표면은 매끄럽고 기름 방울을 가진 것도 있다.
○ 활용
어린 버섯은 식용할 수 있으나 생식하면 중도된다.
항종양, 항균, 항산화, 지방감소 작용이 있는 약용 버섯이다. 중국에서는 항암 버섯으로 이용한다.
○ 동정 포인트
붉은덕다리버섯은 버섯갓이 붉은색이어서 덕다리버섯과는 구별된다.
○ 참고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박완희, 이지헌 <새로운 한국의 버섯> 2011. (주)교학사
김양섭, 석순자, 박영준 <한국의 버섯도감> 2017 푸른행복
○ 여적
-덕다리버섯의 노균으로 추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