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

장지채

by 풀꽃나무광 2016. 11. 24.

장지채 | 진들장포, 영명 Pod grass, Swampy scheuchzeria

Jang-ji-chae
Scheuchzeria palustris L.

북방계식물


○ 국명 정보
장지채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조선식물명집>(1949)

○ 국명의 유래
"장지 + 채", 장지채라는 이름은 한자어 醬池菜에서 유래한 말로 함경북도 고산습지 장이(醬池)에 나는 나물 또는 풀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분류
   장지채과(Scheuchzeriaceae) 장지채속(Scheuchzeria)

  장지채

 

분포|자생지
 
  중국 만주, 러시아 사할린, 한국 등 북반구 온대와 아한대 지역 분포 | 함경북도 고산 습원 장지에 난다. 

 

형태
   생활형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   단단하고 물이끼 속으로 뻗으며 마디에서 잎이 모여난다. 

   줄기  꽃대는 곧추서며 높이 10~30㎝이고 밑부분은 전년도의 잎집으로 싸여 있다. 
     뿌리잎은 선형으로 반원주형이며 길이 8~30㎝, 지름 1~2㎜이고 끝은 둥글며 배수공(排水孔)이 있고 기부에 잎집과 잎혀가 있다. 꽃자루에는 여러 개의 잎이 어긋나고 하엽은 길어 잎몸과 잎집의 구별이 있으나 상엽은 피침형으로 작은 포로 된다.
     양성으로 7~8월에 황록색으로 피고 4~8개의 꽃이 총상꽃차례로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3~20㎜이다. 화피와 수술은 각 6개이고 암술은 3개로 웅예 선숙(先熟)하며 자방은 3개로 거의 떨어져 난다.
   열매  대과(袋果)로 종자는 타원형이며 종피는 갈색으로 단단하고 씨젖이 없으며 녹색의 큰 자엽이 있다.

 

동정 포인트 
 
1. 이 종은 지채속에 비해 꽃자루의 잎과 꽃차례의 꽃이 소수이고 꽃에 포가 있으며 자방은 3개로 떨어져 난다.

 

참고
한반도생물자원포털,  

이우철 <한국기준식물도감>

  본 종은 장지채속(Scheuchzeria)의 단일 종으로 북반구의 온대와 아한대의 습지에 분포한다. 국내에는 북부지방(함경북도 장지, 대택 등)에만 자란다. 장지채는 지채속(Triglochin) 및 Lilaea속과 함께 Juncaginaceae과로 분류되기도 하였지만 이열로 배열하는 3수성 꽃의 특징에 의해 장지채과(Scheuchzeriaceaes)로 분류된다(Posluszny, 1983).
 출전 ; 한반도생물자원포털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83419&cid=46686&categoryId=46695
※장지채의 세밀화( http://www.gbif.org/species/2865260 )

 

여적

 

 

 

 

 

 

 

 

 

 

 

 

 

 

 

 

 

 

 

2016. 07. 30. 백두상 황송포

 

'한반도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숫잔대(20160730)  (0) 2016.11.25
대택비녀골풀  (0) 2016.11.24
개잠자리난초  (0) 2016.11.23
긴잎곰취  (0) 2016.11.23
아그배나무(2)  (0) 2016.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