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외버섯들66

Pilosella aurantiaca (20170626) Pilosella aurantiaca (20170626) |홍화민들레, 영문명 fox-and-cubs, orange hawkweed, devil's paintbrush,  grim-the-collier 필로셀라 오란티아카 Pilosella aurantiaca (L.) F.W.Schultz & Sch.Bip. | 이명 Hieracium aurantiacum L. ※ 라틴어 종소명 aurantiaca는 '주황색'을 의미하며 꽃의 일반적인 색상을 나타냅니다.  ○ 국명정보 ○ 국명의 유래 ○ 분류체계과()>속()국내분포 종 ○ 분포 | 자생지유럽 일부 (중부, 동부, 북부, 남동부 및 남서부)가 원산지입니다. 그것은 영국과 아일랜드, 중앙 아시아, 캐나다, 미국의 많은 주, 일본 및 뉴 사우스 웨일즈와 같은 .. 2025. 3. 27.
안개나무(20170626) 안개나무(20170626) | 스모크트리An-gae-na-mu_Cotinus coggygria Scop. 재배식물 ○ 국명정보안개나무 : 한국동식물도감 제18권 식물편(계절식물) (이영노, 1976)○ 국명의 유래 "안개 + 나무", 중국에서 히말라야 및 유럽 남부에 걸쳐 분포하며 높이 4-5m 정도까지 자란다. 가지 끝에 돌려나기로 잎이 달리고 초여름에 황록색의 꽃이 피면 가느다란 꽃자루가 실 모양으로 길게 늘어져가지 끝을 덮는데 그 모습이 마치 안개 같다고 하여 국명이 유래했다. 참고 : 박상진 (2019) ○ 분류   옻나무과(Anacardiaceae) 아나카르디움아과 (Anacardioideae)  안개나무속(Cotinus)  안개나무 ○ 분포|자생지   중국 및 히말라야  원산, 남부 유럽 전역.. 2025. 3. 27.
구상나무(20170625) 구상나무(20170625) | 검구상나무, 검은구상, 붉은구상, 붉은구상나무, 푸른구상, 푸른구상나무Gu-sang-na-muAbies Koreana E. H. Wilson한반도 고유종 ○ 국명정보구상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1937) / 조선총독부 (1922) ○ 국명의 유래1. "구상 + 나무", 구상나무라는 이름은 제주 방언 구상낭에서 유래한 것으로 성게를 뜻하는 구살(또는 쿠살/쿠실)에서 변화한 구상과 나무를 뜻하는 낭의 합성어이다. 즉 잎이 성게의 가시를 닮은 것, 또는 구과의 모양이 성게를 연상시키는 것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2. 제주도 방언에 성게를 쿠살이라고 부른다. 이 나무의 잎이 성게의 가시와 비슷하다고 여.. 2025. 3. 25.
왕관갈퀴나물(20170623) 왕관갈퀴나물(20170623) | 왕관나비나물Wang-gwan-gal-kwi-na-mul Securigera varia (L.) Lassen※우리나라에 귀화하여  한강변에서도 자란다. ○ 국명 정보왕관갈퀴나물 : 이 등,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 톱니대극(Euphorbia dentate Michx.)과 왕관갈퀴나물(Securigera varia (L.) Lassen)" Kor. J. Pl. Tax. 39 : 117 (2009)○ 국명의 유래"왕관 + 갈퀴나물", 왕관갈퀴나물이라는 이름은  나비 모양의 꽃 여러 송이가 모여 피는 모양이 둥근 왕관을 연상시키는 데서 유래한다. ○ 분류콩과(Leguminosae) 왕관갈퀴나물속(Securigera) 왕관갈퀴나물 ○ 분포|자생지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원.. 2025. 3.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