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벼과315

밀사초(20250307) 밀사초(20250307) | 갯사초, 수염사초Mil-sa-choCarex livida (Wahlenb.) Willd.○ 국명정보밀사초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국명의 유래 "밀 + 사초", 밀사초라는 이름은 열매가 벼과 식물인 밀을 닮았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사초과(Cyperaceae) 사초속(Carex) Rhomboidales절밀사초 / 왕밀사초 / 갯보리사초 / 피사초 / 실피사초 / 넓은잎피사초 ○ 분포|자생지   일본, 러시아, 한국 | 경기, 경남북 등의 해안의 모래밭이나 바위틈에 자란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줄기  땅속줄기가 짧게 옆으로 벋으면서 줄기가 난다. 높이는 10-20cm이다.   잎  잎은 줄기보다 짧거나 비슷하고, 너비 2-3mm이다. 아래쪽.. 2025. 3. 8.
나도바랭이(20241010) 나도바랭이(20241010) | 영명:Feather fingergrassNa-do-ba-raeng-i Chloris virgata Swartz.  귀화식물 ○ 국명정보나도바랭이 : 이창복 (1969)○ 국명의 유래 "나도 + 바랭이", 라는 이름은 형태상 바랭이와 유사하지만 똑같지는 않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벼과(Paceae) 나도바랭이속(Chloris)  나도바랭이 ○ 분포|자생지   열대 아메리카 원산 | 개항 이후 우리나라에 귀화하여 서해안 바닷가나 매립지에 분포한다. ○ 형태   한해살이풀     줄기  줄기의 기부 마디에서 구부러지고 옆으로 누운 마디에서 뿌리를 내며 높이 20~50㎝이다.    잎  기부에 많은 것이 모여 나고 선형으로 길이 5~25㎝, 너비 4~7㎜이며 중앙맥을 .. 2024. 12. 25.
나도바랭이새(20241025) 나도바랭이새(20241025) | 듬성이삭새Na-do-ba-raeng-i-saeMicrostegium vimineum (Trin.) A. Camus, 1921. | Andropogon vimineus Trin., 1832. ○ 국명정보나도바랭이새 : 정태현 (1956) ○ 국명의 유래"나도바랭이 + 새", 나도바랭이새라는 이름은 바랭이와 유사한 새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Liliopsida 백합강 > Cyperales 사초목 > Poaceae 화본과 > Microstegium 나도바랭이속 큰듬성이삭새, 나도바랭이새, 민바랭이새,애기나도바랭이새 ○ 분포|자생지  말레이시아, 러시아, 인도, 일본, 중국 등 | 우리나라 전역의 숲속, 그늘진 습한 풀숲에서 자.. 2024. 10. 28.
Poaceae 벼과 > Microstegium 나도바랭이새속 정리 Poaceae 벼과 > Microstegium 나도바랭이새속 정리○ 분류-국립생물장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국가표준식물목록 Plantae >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Liliopsida (백합강) > Commelinidae (닭의장풀아강) > Cyperales (사초목) > Poaceae (벼과) > Microstegium (나도바랭이새속)민바랭이새 Microstegium japonicum (Miq.) Koidz.나도바랭이새 Microstegium vimineum (Trin.) A. Camus큰듬성이삭새 Microstegium vimineum var. polystachyum (Franch. & Sav.) Ohwi산대잎바랭이새 Microstegium nudum (Trin.) A. Cam.. 2024. 10.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