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로브잣나무 | 북한명 가는잎소나무
Seu-teu-robeu-jat-na-mu
Pinus strobus L.
○ 국명정보
스트로브잣나무 : 조선수목 (이창복, 1947)
○ 국명의 유래
"스트로브 + 잣나무", 솔방울을 뜻하는 종소명 'strobus'에서 유래한다. 소나무 종류는 모두 솔방울이 달리는데 이나무는 유달리 긴 솔방울을 가졌기 때문에 이 솔방울을 강조하기 위해 붙여진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 : 박상진 <우리 나무 이름 사전>(2019)
○ 분류
구과식물문(Pinophyta)>구과식물강(Pinopsida)>구과목(Pinales)>소나무과(Pinaceae)>소나무아과(Pinoideae)>소나무속(Pinus)
방크스소나무 / 백송 / 금강소나무 / 반송 / 처진소나무 / 곰솔 / 눈잣나무 / 리기다소나무 / 섬잣나무 / 소나무 / 스트로브잣나무 / 잣나무 / 구주소나무 / 만주곰솔 / 테에다소나무
○ 분포|자생지
북아메리카 원산 | 전국의 공원, 고속도로 변에 흔히 식재한다.
※성장이 빠르며 전국의 공원, 고속도로변, 아파트 단지에 흔히 식재한다.
○ 형태
수형 상록 교목이며 자생지에서는 높이 65m, 지름 1.8m 정도까지 자란다. 오래된 나무의 수형은 원추형이다.
수피 회갈색이며 어릴 때에는 매끈하다가 오래되면 세로로 불규칙하게 갈라진다. 어린가지는 녹갈색-적갈색이며 처음에는 털이 있으나 차츰 없어진다.
겨울눈 밝은 적갈색이며 길이 4-5mm의 난상 원주형이다. 수지가 약간 생기기도 한다.
잎 길이 6-14cm의 침형이며 5개씩 모여 난다. 짙은 녹색-외녹색이며, 엽질은 부드럽다. 기공성은 윗면에서 뚜렷이 나타난다. 잎의 수명은 2-3년 정도다.
구화수 암수한그루이며 구화수는 5월에 성숙한다. 수구화수는 황색이고 아래쪽에 여러 개가 모여 달린다. 암구화수는 타원형 또는 난상 구형이며 새가지 끝에 달린다.
열매/종자 구과는 길이 7-20cm의 긴 워ㅕㄴ통형이고 아래로 처져 달리며 이듬해 가을에 익는다. 종자는 길이 5-6mm의 넓은 도란형이고 적갈색을 띠며 길이 1.8-2.5cm의 날개가 있다.
○ 동정 포인트
1. 잎이 5개이고 비교적 엽질이 부드러운며, 긴 원통형의 열매가 아래로 처져 달리는 것이 특징이다.
○ 참고
한반도생물자원포털
이우철 <한국기준식물도감>
○ 여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