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

신갈나무

by 풀꽃나무광 2014. 10. 28.

신갈나무 | 물갈나무, 돌참나무, 물가리나무, 재라리나무, 털물갈나무, 물신갈나무, 만주신갈나무, 털깃옷신갈참나무

Sin-gal-na-mu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 국명정보

신갈나무 :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국명의 유래
1. 신갈나무라는 이름은 강원도 방언을 채록한 것이다. 강원도와 인접한 경북 북부 지방에는 신갈나무를 일컫는 방언으로 '신거리'가 있는데 이는 예말로 '한 컬레 정도의 많지 않은 신(발)'이라는 뜻이다. 이에 비추어 신갈나무의 '신'은 신발을 뜻하여 이 나무의 잎을 짚신의 신발창으로 갈아 쓴다는 뜻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보인다. 다만 신갈나무의 잎은 잘 찢어져 신발창으로 갈아 쓰는 것이 쉽지 않으므로 실제 그러한 용도로 사용했다기보다는 한컬레의 신발로 사용할 만큼 큰 잎을 가진 갈나무 종류라는 뜻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추정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한국 식물 이름의 유래>

2. 신갈나무는 평지에는 거의 잎이 다 피고도 한참 지난 늦봄에 연초록의 새잎을 내민다. 이때 새잎이 깨끗하고 신선하여 눈에 잘 띠므로 '새로 잎을 간 나무'란 뜻으로 신갈나무가 되었다. 한편 짚신이 다 헤지면 신갈나무 잎을 깔곤 했기에 신갈이나무라고 부르다가 신갈나무가 되었다는 설이 있다. 참고 : 박상진 <우리 나무 이름 사전>(2019)

 

분류
   참나무과(Fagaceae) 참나무속(Quercus)

  가시나무 / 갈졸참나무 / 갈참나무 / 개가시나무 / 굴참나무 / 떡갈나무 / 떡갈졸참나무 / 떡갈참나무 / 떡속소리나무 / 떡신갈나무 / 떡신갈참나무 / 떡신졸참나무 / 봉동참나무 / 붉가시나무 / 상수리나무 / 신갈나무 / 신갈졸참나무 / 정능참나무 / 졸가시나무 / 졸참나무 / 종가시나무 / 참가시나무 / 깃참나무 / 물참나무 / 민종가시나무 / 졸갈참나무 / 청갈참나무 / 청떡갈나무 / 개붉가시나무 / 넓은참가시나무 / 청졸갈참나무

 

분포|자생지
 
  중국(중남부 이북), 러시아, 한국 | 전국에 분포하며 해발고도가 높은 산지에서는 순림을 형성하기도 한다.

 

형태
   수형
 낙엽 교목이며 높이 30m, 지름 1.5m 정도로 자란다.
   수피   회색 또는 회갈색이며 세로로 불규칙하게 갈라진다.  
   겨울눈  길이 5-10mm의 장타원상이다. 
     어긋나지만 가지 끝에서는 모여 나는 것처럼 보인다. 도란형 또는 장타원형이며 길이는 7-20cm이다. 끝은 둔하고 밑은 귀 모양이며 가장자리에는 물결 모양의 둔한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길이 1-3mm이고, 털이 없다.
     암수한그루이며 꽃은 4-5월에 잎이 나면서 동시에 핀다. 수꽃차례는 길이 6.5-8cm이고 새가지 밑부분에서 아래로 드리우며, 수술은 5-8개이다. 암꽃차례는 길이 5-20mm이며 새가지 끝의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열매  길이 2-3cm의 장타원형이며 9-10월에 익는다. 각두의 인편은 삼각상 피침형이며 비늘처럼 붙어 있다. 견과는 길이 2-2.4cm의 좁은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며 털이 없다. 

 

동정 포인트
 
1. 졸참나무 또는  갈참나무에 비해서 잎자루가 매우 짧고 잎 기부가 귀 모양으로 되는 것이 특징이다. 국내 자생하는 참나무 중에서 해발고도가 가장 높은 곳까지 자란다.    

 

참고
   
김진석, 김태영 <한국의 나무>

 ※학자에 따라서는 우리나라 자생 신갈나무를 일본에 분포하는 Q. crispula Blume 와 동일종으로 보기도 한다.

 

□ 도토리거위벌레 이야기 

석촌호수공원 서쪽 끝머리에는 서울놀이마당이 있다. 민속놀이를 주로 공연하는 원형의 야외 무대이다. 기와로 지붕을 한 2m쯤 높이의 토담이 공연장을 빙 둘러싸고 있다. 공원에서 놀이마당으로 들어가는 사잇문 직전에는 화단이 조성되어 있다. 봄에는 붓꽃과 꽃창포가 한창이더니 요즘엔 맥문동, 비비추 같은 지피식물이 꽃을 피운다. 그 위로 잣나무, 갈참나무, 복사나무 등 큰키나무가 몇 그루 심어져 있다. 오늘 귀가길에 갈참나무 열매를 유심히 보다가  잎과 열매가 함께 달려 있는 채 땅에 떨어져 있는 가지가 여기저기 널려 있는 것을 발견했다. 잎을 자세히 살펴보니 갈참나무 잎이 아니라 신갈나무 잎이다. 위를 쳐다보니 신갈나무도 갈참나무와 함께 나란히 서 있다. 그런데 왜 지금까지 갈참나무만 보고 신갈나무는 보지 못했을까? 떨어진 나뭇잎을 자세히 살펴보니 공교롭게도 갈참나무 잎은 하나도 없다. 마침 그때 자전거를 타고 가던 한 아저씨가 누가 이렇게 참나무 가지를 잘라 놓았을까 하고 궁금해 한다. 도토리거위벌레의 정체를 잘 모르시는 모양이다. 그 즉석에서 도토리를 주어 깍지를 까고 껍질을 벗겨 보이며 이곳에 도토리거위벌레가 알을 낳았을 것이라고 가르쳐 주었다. 알이 하도 작아서 육안으로 얼른 잘 보이지는 않는다. 가지 하나를 골라 집에 가져와서 해부를 시작했다. 그리고 사진을 찍어 기록으로 남겼다. 확대해 보니 알이 뚜렷이 보인다. 어떻게 귀신처럼 알고 옆에 있는 갈참나무는 놓아 두고 신갈나무 도토리에만 알을 낳아 떨어뜨릴까? 인터넷 검색을 해 보았다. 딱정벌레의 일종인 도토리거위벌레의 정체는 이렇다. 
 성충의 몸길이는 1cm 정도로 큰편이다. 온몸에 회색빛 털이 나 있고 주둥이가 유난히 길다. 무더운 여름철에 집중적으로 나온다. 성충은 잎만 먹지만 애벌레는 참나무류의 도토리를 먹고 산다. 애벌레는 20일 이상 도토리 밥을 먹고 나면 종령애벌레로 땅속으로 들어가 10달 동안 흙방에서 잠을 잔다. 이듬해 5월 말에 번데기가 되고, 6월이면 비로소 도토리거위벌레의 성충으로 탄생한다. 8월경 도토리가 여물어 단단해지기 전에 도토리의 모자(각두)같은 부분에 주둥이로 구멍을뚫고 껍질 바로 밑까지 파 들어 간다. 여기에 산란관을 집어넣어 우유빛의 타원형 알을 낳는다. 도토리가 다 익어서 딱딱해지면 유충이 그것을 먹는데 어려움이 있을 터이니 그들은 서둘러 다 익기전에 도토리에 산란한다. 성충은 왜 산란만 하지 않고 굳이 잎이 달린 가지 채 도도리를 잘라 떨어뜨릴까? 떨어뜨린 도토리는 더 이상 성장을 멈추고 여물지 못한다. 그래야 알에서 부화한 어린 유충이 도토리를 파먹을 수 있다. 떨어뜨려지지 않고 가지에 달려 있다면 더 성숙해져서 도토리는 더 단단해질 터이다. 어린 유충은 딱딱해진 도토리를 먹기가 어려울 터, 마치 막 태어난 아이가 밥을 먹을 수 없고 젖을 먹듯이 말이다. 산란이 끝낸 도토리를 가지가 달린 채로 땅에 떨어뜨린다. 이때 자기 몸통 굵기의 나뭇가지를 주둥이로 잘라낸다. 주둥이를 좌우로 움직이며 가지를 반 정도 뜯어내어 잘라들어간다. 잘라낸 면을 보면 칼로 자른 것 같이 매끈하다. 나뭇가지와 함께 떨어진 도토리거위벌레 성충은 다시 날아올라 또 다른 도토리에 산란을 한다. 떨어진 도토리 속의 알은 5~8일만에부화하여 도토리를 먹고 자라게 된다.   20일 정도 지나면 다 자란 애벌레가 된다. 다 자란 유충은 낙엽층을 헤집고 땅속으로 들어가 겨울을 나고 번데기로 탈바꿈한다. 참나무류에 열매가 생기는 6월부터 우화를 시작하여 나뭇잎을 먹으며 도토리에 산란하기 시작한다. 유별나게 긴주둥이가 거위의 목 처럼 생겼다 하여 도토리거위벌레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거위벌레는 이렇게 생겼다.

 

여적

2011년5월14-15일 강화

 

 

 

 

 

2012. 07. 30. 서울 송파 잠실나루고원

-도토리거위벌레의 알

 

 

2012. 07. 30.&amp;amp;nbsp;서울 송파 잠실나루고원&amp;amp;nbsp;

 

 

 

 

 

2014. 05. 21. 경기 하남 검단산

 

 

'한반도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잠자리난초  (0) 2014.10.28
중대가리나무(구슬꽃나무)  (0) 2014.10.28
졸참나무  (0) 2014.10.28
갈참나무(1)  (0) 2014.10.28
상수리나무  (0) 2014.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