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백두산지역

숙은꽃장포

by 풀꽃나무광 2013. 8. 3.

숙은꽃장포 | 숙은꽃장포풀, 숙은돌창포, 애기바위장포

Suk-eun-kkot-jang-po

Tofieldia coccinea Richardson  


○ 국명 정보
숙은꽃장포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조선식물명집>(1949)

○ 국명의 유래
"숙은 + 꽃장포", 숙은꽃장포라는 이름은 꽃과 열매가 아래로 향해 숙어 있는 꽃장포라는 뜻에서 유래했다에서 유래했다.

 

분류
백합과(Liliaceae) 석장포속(Tofieldia)

꽃장포 / 숙은꽃장포 / 한라꽃장포

위키백과 APG III 분류체계에서는 택사목 돌창포과로 분류함.

 

분포|자생지
   북반구 온대와 아한대 | 평북, 함남북, 경남(가야산)의 높은 산 고지대에 자란다.

 

형태
   여러해살이
풀  
   줄기  높이 5-16cm이다.  

      줄기 아래쪽의 잎은 선형, 길이 2.5-8cm, 폭 0.2-0.4cm, 끝이 뾰족하고, 잎맥은 희미하다. 줄기 위쪽에는 선형의 작은잎이 1-2장 달린다.  
      6-7월에 피는데 줄기 끝의 총상꽃차례에 여러 개가 빽빽하게 달리며, 흰색 또는 붉은빛이 조금 돈다. 꽃차례는 길이 0.7-3cm이다. 꽃자루는 0.5-0.8mm지만 열매가 익을 때는 1.5-3.5mm로 자란다. 화피는 6장, 도피침형 또는 타원형, 길이 2-3mm이다. 암술대는 길이 0.4mm쯤으로서 수술과 비슷한 길이다. 
   열매  삭과, 둥글고, 지름 2-3mm, 마디가 있다. 열매에 남아 있는 암술머리는 두껍다.

 

동정 포인트 
1. 한라꽃장포(T. fauriei H. Lév. & Vaniot)에 비해서 전체가 조금 크며, 꽃자루는 짧고, 꽃밥은 노란 갈색이다. 

2. 한라꽃장포(T. fauriei H. Lév. & Vaniot)에 비해서 수술대가 화피보다 짧거나 같다. 

3. 꽃장포는(Tofieldia nuda Maxim.) 잎 가장자리에 돌기가 없고 꽃자루가 비스듬히 또는 곧추서며 꽃과 열매가 밑으로 굽지 않는다.

 

참고
    
한반도생물자원포털   https://www.nibr.go.kr/species/home/species/spc01001m.jsp?cls_id=52362&show_all_tab=&show_cls_nm_gbn=kr

     이우철 <한국기준식물도감>

  ※꽃장포속(Tofieldia) 식물은 북반구 온대와 아한대 분포하며, 국내에는 3종이 있다.

 

여적

-화서가 보다 작다. 꽃자루가 보다 짧으며 옆으로 퍼진다. 꽃밥은 붉은색이다.

 

 

2013. 06. 09. 백두산 지하산림

 

 

 

 

 

2013. 06. 09. 백두산 소천지

 

2007. 07. 22. 백두산 서파

 

2007. 07. 24. 백두산 북파

 

'백두산지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졸방제비꽃  (0) 2013.08.03
좀설앵초  (0) 2013.08.03
자주종덩굴  (0) 2013.08.03
왕죽대아재비  (0) 2013.08.03
분홍바늘꽃  (0) 2013.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