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류

두루미(20250219)

by 풀꽃나무광 2025. 2. 22.

두루미(20250219) |

Du-ru-mi

Grus japonensis (P.L.S.Müller, 1776)

멸종위기 야생새울 I급

 

 분류

Animalia > Chordata (척삭동물문) > Aves (조강) > Gruiformes (두루미목) > Gruidae (두루미과) > Grus (두루미속) > japonensis (두루미)

두루미 Grus japonensis (P.L.S.Müller, 1776)

재두루미 Grus vipio Pallas, 1811

흑두루미 Grus monacha Temminck, 1835

검은목두루미 Grus grus (Linnaeus, 1758)

Animalia > Chordata (척삭동물문) > Aves (조강) > Gruiformes (두루미목) > Gruidae (두루미과) > Anthropoides (쇠재두루미속) > Anthropoides (쇠재두루미)

쇠재두루미 Anthropoides virgo Linnaeus, 1758 

캐나다두루미 Antigone canadensis (Linnaeus, 1758)

Animalia > Chordata (척삭동물문) > Aves (조강) > Gruiformes (두루미목) > Gruidae (두루미과) > Leucogeranus  (시베리아흰두루미속) > Leucogeranus (시베리아흰두루미)

시베리아흰두루미 Leucogeranus leucogeranus Pallas, 1773

 

 분포

국내에는 강원도 철원지역과 경기도 연천, 파주, 강화 등 주로 비무장지대와 민간인 통제지역 일대가 대표적인 월동지이다.  러시아 동남부 한카호, 중국 동북지방, 일본 홋카이도, 몽골 동부 등지에서 번식하고 한국, 중국 동남부에서 월동한다. 

 

 개요

두루미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의 두루미과 조류로 드문 겨울철새이다. 몸길이는 약 140cm이며, 암수의 형태가 유사하다. 몸은 흰색이고, 정수리는 붉은색, 눈앞과 멱, 목, 그리고 길게 늘어진 셋째날개깃은 검은색이다. 부리는 노란색을 띤 녹색이며, 다리는 검은색이다. 어린 새는 몸은 흰색이며, 머리와 목은 연한 갈색이다. 월동지인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민간인통제지역 일대의 논, 율무밭, 옥수수밭 등에서 먹이활동을 하고, 결빙된 저수지, 강의 모래톱 등을 잠자리로 이용한다. 암컷과 수컷 그리고 그들의 새끼로 형성된 가족 단위로 행동한다. 2~3월에는 암수가 마주 본 상태에서 부리를 하늘로 향하고 반복해 우는 구애 행동을 볼 수 있다. 러시아 동남부 한카호, 중국 동북지방, 일본 홋카이도, 몽골 동부 등지에서 번식하고 한국, 중국 동남부에서 월동한다. 국내에는 강원도 철원지역과 경기도 연천, 파주, 강화 등 주로 비무장지대와 민간인 통제지역 일대가 대표적인 월동지이다.

 

 생태

드문 겨울철새이다. 월동지인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민간인 통제지역 일대의 논, 율무밭, 옥수수밭 등에서 먹이활동을 하고, 결빙된 저수지, 강의 모래톱 등을 잠자리로 이용한다. 암컷과 수컷 그리고 그들의 새끼로 형성된 가족 단위로 행동한다. 2~3월에는 암수가 마주 본 상태에서 부리를 하늘로 향하고 반복해 우는 구애 행동을 볼 수 있다. 

 

 동정 포인트

 몸은 흰색이고, 정수리는 붉은색, 눈앞과 멱, 목, 그리고 길게 늘어진 셋째날개깃은 검은색이다. 부리는 노란색을 띤 녹색이며, 다리는 검은색이다. 

 

 참고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고니와 큰고니의 비교 구분

 

 여적

-꼬리 부분과 목 머리 일부분이 검은색인 것이 두루미다.

2025. 02. 19. 철원

'조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루미 떼(20250219)  (0) 2025.02.23
큰고니(20250219) ?  (0) 2025.02.22
큰기러기(20250219)  (0) 2025.02.22
물수리(20250220) ?  (0) 2025.02.22
왜가리(20250220)  (0) 2025.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