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울릉도식물

왕해국

by 풀꽃나무광 2013. 10. 14.

왕해국 | 해국

Wang-hae-guk

Aster spathulifolius var. oharae (Nakai) Y.N.Lee | 이명 Aster sphathulifolius Maxim.

 

○ 국명정보
왕해국 :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왕 + 해국",  왕해국이라는 이름은 식물체 전체적으로 큰(왕) 해국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국가표준식물목록, 이우철 기준식물도감 등에서는 해국에 통합하고 별도 분류하지 않았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한국 식물 이름의 유래>

 

분류
  국화과(Asteraceae)>국화아과(Asteroideae)>참취족(Astereae)>참취속(Aster)

  가새쑥부쟁이 / 개미취 / 갯개미취 / 갯쑥부쟁이 / 눈갯쑥부쟁이 / 미국쑥부쟁이 / 벌개미취 / 비짜루국화 / 섬쑥부쟁이 / 쑥부쟁이 / 옹굿나물 / 왕갯쑥부쟁이 / 우선국 / 좀개미취 / 참취 / 추산쑥부쟁이 / 해국 / 까실쑥부쟁이 / 단양쑥부쟁이

 

분포|자생지
   
한국 | 깅원도, 제주도, 울릉도 등의 바닷가 바위틈이나 모래땅에 자생한다.

 

형태
   여러해살이풀  
   줄기  높이는 30~60㎝이지만, 전체적으로 해국보다 크다. 줄기는 비스듬히 자라고, 밑 부분에서 여러 개로 갈라진다.
     해국보다 훨씬 크고 넓으며, 거꿀달걀꼴로 어긋난다. 그러나 아래쪽 잎은 무더기로 나는 것처럼 보이는데, 양면에 주걱처럼 생긴 부드러운 털이 빽빽이 나 있다. 잎 위쪽에는 커다란 톱니가 불규칙하게 나 있고,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주걱꼴의 톱니가 조금 나 있다.
     7~11월에 자줏빛으로 피고, 해국보다 훨씬 짙다. 
   열매  수과, 11월에 익고, 깃털(관모)은 갈색이다.

 

동정 포인트 
  
 해국에 비해 꽃이나 잎이 훨씬 크고, 잎의 가장자리에 톱니가 적으며, 대부분 밋밋하고 둥굴게 보이는 특징이 있다.

 

참고
   
 두산백과, 이영노 <한국식물도감>

 

여적

 울릉도 도동에서 저동으로 난 해안 산책로 주변에 참 해국이 참 많다. 꽃이 없으니 왕해국과 어떻게 다른지 분간할 수 없다. 정리하면서 자료를 조사해 보니 이영노 박사님께서  Aster spathulifolius var. oharae (Nakai) Y.N.Lee 이런 학명으로 기재하 발표하였다. 기재문을 볼 수 없지만 꽃과 잎이 보통의 해국과는 다른 모양이다. 국가표분식물목록에는 해국 하나로 통일되어 있다. 이연노 <한국식물도감>에만 등재되어 있다. 

 

 

 

 

 

 

 

 

 

 

 

 

 

 

2013. 05. 18. 울릉도

'울릉도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나리  (0) 2013.10.14
섬괴불나무(1)  (0) 2013.10.14
갯괴불주머니  (0) 2013.10.13
괭이밥(1)  (0) 2013.10.13
큰개미자리(2)  (0) 2013.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