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울릉도식물

괭이밥(1)

by 풀꽃나무광 2013. 10. 13.

괭이밥(1) | 시금풀, 괴싱이, 시금초/외풀, 괴승애, 눈괭이밥/붉은괭이밥/자주괭이밥, 괴승아, 괭이밥풀

Gwaeng-i-bap

Oxalis corniculata L.

 

○ 국명정보
괭이밥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조선식물향명집>(1937)

○ 국명의 유래 
"괭이 + 밥",   괭이밥이라는 이름은 식물체에 들어 있는 산 성분이 소화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어 고양이가 소화가 되지 않을 때 뜯어 먹는 풀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옛 문헌에 나오는 괴승아 또는 괴싀영에서 괴는 고양이를, 승아 또는 싀영은 마디풀과 의 수영을 뜻하므로 괴승아 또는 괴싀영은 수영과 비슷하게 신맛이 강하게 난다는 뜻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한국 식물 이름의 유래>

 

 분류
 괭이밥과(Oxalidaceae) 괭이밥속(Oxalis)

 애기괭이밥 / 자주애기괭이밥 / 붉은자주애기괭이밥 / 덩이괭이밥 / 꽃괭이밥 / 괭이밥  / 자주괭이밥 / 큰괭이밥 / 선괭이밥 / 우산잎괭이밥 / 붉은괭이밥

 

 분포|자생지
   
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 |  전국의 햇볕이 잘 드는 길가, 공터, 밭 등에 자란다.

 

 형태
   여러해살이풀  

   뿌리  땅속 깊이 내리며 그 위에서 많은 줄기가 나와 옆이나 위쪽으로 비스듬히 자란다.
   줄기  높이 10-50cm,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조금 비스듬히 자란다. 풀 전체에 가는 털이 난다. 

     어긋나며, 작은 잎 3장으로 된 겹잎이다. 작은 잎은 도심장형, 길이 0.8-1.5cm, 폭 0.7-1.7cm이다. 잎 앞면은 털이 거의 없고, 뒷면은 누운 털이 있는데 맥 위에 많다. 잎자루는 길이 1.7-6.0cm, 털이 난다. 턱잎은 잎자루 밑에 붙으며, 타원형 또는 둥근 난형, 길이 2mm, 폭 1m쯤이다. 
      5-9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난 산형꽃차례에 1-5개씩 피며, 노란색, 지름 1.0-1.5cm이다. 꽃자루는 길이 4-10mm이다. 꽃받침잎은 피침형, 겉에 털이 난다. 꽃잎은 도란형이다. 수술은 10개이며, 5개는 짧다.
   열매  삭과, 길이 1-2cm, 원기둥 모양이고 주름이 6줄 지며 익으면 많은 씨가 나온다. 

 

 동정 포인트 
   1. 뿌리가 가늘고 땅위줄기는 곧게 서며 턱잎이 뚜렷하지 않다.----------------선괭이밥(O. stricta L.)

   2뿌리가 옆으로 뻗고, 가지가 거의 갈라지지 않으며, 곧추서고, 턱잎이 없다.----선괭이밥(O. stricta L.) 

   3. 기부에서 가지가 거의 갈리지 않고, 곧추선다.---------------------------선괭이밥(O. stricta L.)   

   4. 뿌리가 곧고 땅위줄기가 땅을 기며 턱잎이 뚜렷하게 나타난다.--------------괭이밥

 ▩ 괭이밥속 검색표
1. 알뿌리가 있다.
  2. 땅속에 덩이줄기가 있다 ·· -----------------------------덩이괭이밥 O. articulata
  2. 땅속에 다수의 비늘줄기가 있다 ······ ---------------------자주괭이밥 O. corymbosa
1. 알뿌리가 없이 지상부의 줄기 혹은 포복성 지하경이 발달한다.
    3. 꽃은 뿌리 혹은 잎다발에서 나오며, 꽃은 흰색이다.
      4. 지하경의 두께는 3 mm 이하이고, 소엽은 도심장형이다 ··---· 애기괭이밥 O. acetosella
      4. 지하경의 두께는 5 mm 이상이고, 소엽은 도삼각형이다 ···---· 큰괭이밥 O. obtriangulata
    3. 꽃은 흔히 엽액에서 나오며, 꽃은 노란색이다.
       5. 화경과 소화경에 강모가 밀집하며, 종자의 능선은 흰색이다------ · 들괭이밥 O. dillenii
       5. 화경과 소화경에 융모가 있으며, 종자의 능선은 갈색이거나 드물게 흰빛을 띤다.
          6. 줄기는 포복하며, 탁엽은 형태가 뚜렷하고, 장타원형이다 ···· ----괭이밥 O. corniculata
          6. 줄기는 직립하며, 탁엽은 퇴화되거나 매우 축소되었다 ···· -------선괭이밥 O. stricta

                      *분류학회지 Korean J. Pl. Taxon. 46(3): 331−335 (2016)

 

▩ 위키백과의 괭이밥 세밀화

참고; https://ko.wikipedia.org/wiki/%EA%B4%AD%EC%9D%B4%EB%B0%A5

 

 참고
    
한반도생물자원포털   http://www.nibr.go.kr/species/home/species/spc01001m.jsp?cls_id=54104&show_all_tab=&show_cls_nm_gbn=kr
     이우철 <한국기준식물도감>

 

 여적

  기존의 국내 식물도감에는 별개의 종으로 분류하지 않았다. 역시 국가표준식물목록에나 국가생물정보시스템에는 등제되지 않은 종이다. 그러나 단순히 환경적 차이에서 오는 변이인지 확실하지 않다. 일반적인 괭이밥은 잎을 비롯한 전체가 녹색인데 붉은괭이밥은 그렇지 않다. 우선 꽃잎의 안쪽에 붉은빛이 뚜렷하고 잎, 줄기도 붉은빛이 뚜렷하다. BRICS에서는 학명을 Oxalis corniculata L. for. rubrifolia  으로 하여 구분을 하였다.

 

2013. 05. 18. 울릉도
2022. 04. 01. 제주도 서귀포 예례하천
2022. 04. 11. 제주도 서귀포 예래마을

'울릉도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왕해국  (0) 2013.10.14
갯괴불주머니  (0) 2013.10.13
큰개미자리(2)  (0) 2013.10.13
자란  (0) 2013.10.13
파드득나물  (0) 2013.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