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2570

상수리나무(20240525) 상수리나무(20240525) |  橡實, 참나무(북한명), 도토리나무, 보춤나무Sang-su-ri-na-mu Quercus acutissima Carruth. ○ 국명의 정보상수리나무 :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참나무 :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도토리나무 :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보춤나무 :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 국명의 유래"상수리 + 나무", 상수리나무라는 한글명은 조선 후기에 상실(橡實)과 함께 기록했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상수리나무라는 이름은 '상실(橡實)'과 '이'라는 접미사, '나무'로 이루어진 합성어로 '샹실이나무ㅡ>샹슈리나무ㅡ>상수리나무'로 변화하여 형성된 이름이라고 이해되며 도토리.. 2024. 5. 31.
주엽나무(20240525) 주엽나무(20240525) | 쥐엄나무, 아자비과줄나무, 가막과줄나무/주염나무, 조각자나무Ju-yeop-na-muGleditsia japonica Miq.  ○ 국명정보주엽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국명의 유래 1. "주엽 + 나무", 주엽나무라는 이름은 약재명으로 전래된 중국명 조협(皁莢)을 발음하는 과정에서 모음조화가 이루어지고 ㅎ음이 탈락하면서 주엽으로 변화한 것에서 유래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2. 주엽나무 열매를 조협(皁莢)이라고 한다. 조협나무가 변하여 주엽나무가 된 것으로 본다. 동의보감에는 주엽나모라 하였다. 쥐엄나무라는 이름도 있는데 주엽나무의 잘 익은 열매 속에는 약간 단맛이 나는 잼 같은 것이 들어 있는데 이.. 2024. 5. 31.
Delphinium grandiflorum 'Blue Mirror'(20240525) 국명 | 블루 미러 델피니움, 델피니움 '블루 미러', 영문명 Delphinium 'Blue Mirror', 델피니움 그랜디플로룸 '블루 미러'Delphinium grandiflorum 'Blue Mirror'  | 다른학명재배식물 ○ 국명정보 ○ 국명의 유래 ○ 분류체계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 > 제비고깔속 Delphinium 델피니움 '블루 미러' Delphinium grandiflorum 'Blue Mirror'  ○ 분포 | 자생지| 최고의 성능을 위해 배수가 잘되고 영양이 풍부한 토양에서 재배한다. ○ 형태전통적인 키가 큰 뾰족한 Delphiniums와 매우 다른 이 균주는 레이스 녹색 잎의 낮고 덤불 같은 마운드를 형성합니다. 식물은 여름 내내 하나의 일렉트릭 블루 꽃을 느슨하게.. 2024. 5. 31.
끝마디통통집게벌레(20240530) 끝마디통통집게벌레(20240530) | 흰수염가위벌레Kkeut-ma-di-tong-tong-jip-ge-beol-reAnisolabella marginalis Dohrn, 1864  | 원기재명 Forcinella marginalis Dohrn, 1864이명 Gonolabis marginalis Dohrn, 1864 ○ 분류체계 Animalia > Arthropoda (절지동물문) > Hexapoda (육각아문) > Insecta (곤충강) > Dermaptera (집게벌레목) > Neodermaptera > Anisolabidoidea > Anisolabididae (민집게벌레과) > Anisplabidinae > Anisolabella (끝마디통통집게벌레속) > marginalis (끝마디통통집게벌.. 2024. 5.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