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두루미(20250219) |
Jae-du-ru-mi
Grus vipio Pallas, 1811 | 원기재명 Grus vipio Pallas, 1811 (재두루미)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
○ 분류
Animalia > Chordata (척삭동물문) > Aves (조강) > Gruiformes (두루미목) > Gruidae (두루미과) > Grus (두루미속) > vipio (재두루미)
재두루미 Grus vipio Pallas, 1811
○ 분포
국내에는 철원지역에서 가장 많은 개체 수가 관찰되며, 한강 하구, 임진강 유역, 순천만, 구미 해평습지, 주남저수지, 낙동강 하구 등에서도 일부가 월동한다
극동아시아에서만 분포하는 종으로 몽골 동부, 러시아와 중국 국경 지역에서 번식하고, 중국 양쯔강 유역, 한국, 일본 이즈미에서 월동한다.
○ 개요
재두루미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의 두루미목 두루미과 조류로 드문 겨울철새이다. 몸길이는 약 127cm이며, 암수의 형태가 유사하다. 눈 주위로 붉은색 피부가 노출되어 있다. 머리와 뒷목은 흰색, 목 앞은 회색이다. 몸은 회색이고, 첫째날개깃과 둘째날개깃은 검은색이지만, 날개를 접고 있을 때 흰색의 셋째날개깃이 덮고 있다. 어린 새는 머리꼭대기에서 뒷목까지 황갈색이다. 겨울철에 어미새는 어린 새와 함께 가족군을 형성하며, 강 하구, 갯벌, 개활지, 논, 초습지에서 생활한다. 조개류와 곤충류, 옥수수, 벼의 낱알, 풀씨, 풀뿌리 등을 먹는다. 경계심이 매우 강하며, 사람이 접근하면 주위를 감시하던 개체의 신호에 의해 무리 전체가 목과 머리를 위로 들고 날아갈 준비를 한다. 이동시기에는 여러 가족군이 모여 큰 무리를 이룬다. 극동아시아에서만 분포하는 종으로 몽골 동부, 러시아와 중국 국경지역에서 번식하고, 중국 양쯔강 유역, 한국, 일본 이즈미에서 월동한다. 국내에는 드문 겨울철새로 철원지역에서 가장 많은 개체 수가 관찰되며, 한강 하구, 임진강 유역, 순천만, 구미 해평습지, 주남저수지, 낙동강 하구 등에서도 일부가 월동한다.
○ 생태
드문 겨울철새이다. 겨울철에 어미 새는 어린 새와 함께 가족군을 형성하며, 강 하구, 갯벌, 개활지, 논, 초습지에서 생활한다. 조개류와 곤충류, 옥수수, 벼의 낱알, 풀씨, 풀뿌리 등을 먹는다. 경계심이 매우 강하며, 사람이 접근하면 주위를 감시하던 개체의 신호에 의해 무리 전체가 목과 머리를 위로 들고 날아갈 준비를 한다. 이동시기에는 여러 가족군이 모여 큰 무리를 이룬다. 극동아시아에서만 분포하는 종으로 몽골 동부, 러시아와 중국 국경지역에서 번식하고, 중국 양쯔강 유역, 한국, 일본 이즈미에서 월동한다. 국내에는 드문 겨울철새로 철원지역에서 가장 많은 개체 수가 관찰되며, 한강 하구, 임진강 유역, 순천만, 구미 해평습지, 주남저수지, 낙동강 하구 등에서도 일부가 월동한다.
○ 동정 포인트
○ 참고
○ 여적
'조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물가마우지(20250220) (0) | 2025.02.22 |
---|---|
청둥오리(20250220) (0) | 2025.02.22 |
독수리(20250219) (1) | 2025.02.22 |
캐나다 기러기 (20120623) (0) | 2025.02.07 |
붉은머리오목눈이(20241229) (1) | 2025.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