뺑쑥 | 뺑대쑥
Bbaeng-ssuk
Artemisia feddei H.Lév. & Vaniot
○ 국명정보
뺑쑥 :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뺑 + 쑥", 뺑쑥이라는 이름은 마른 잎으로 불을 피우거나 줄기를 모아 횃불을 만든 것과 관련해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잎을 약재료 사용하거나 줄기를 횃불을 만든는 재료로 사용했다. ㅂ·ㅣ양→ㅂ·ㅣ양ㅄㅜ → ㅅ비양쑥→ㅅ뱅쑥 → ㅅ뱅대쑥으로 변화해 형성된 말로 확인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한국 식물 이름의 유래>
○ 분류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Asterales 국화목 > Asteraceae 국화과 > Artemisia 쑥속
개똥쑥 / 개사철쑥 / 구와쑥 / 그늘쑥 / 금강쑥 / 금쑥 / 넓은잎쑥 / 넓은잎외잎쑥 / 더위지기 / 덤불쑥 / 맑은대쑥 / 명천쑥 / 물쑥 / 비쑥 / 뺑쑥 / 사철쑥 / 산개쑥 / 산쑥 / 산흰쑥 / 쑥 / 애기비쑥 / 외잎쑥 / 율무쑥 / 참쑥 / 큰비쑥 / 황해쑥 / 흰쑥 / 갯제비쑥 / 제비쑥 / 섬쑥 / 실제비쑥 / 증산쑥 / 가는잎쑥 / 가새외대쑥 / 비단쑥 / 외잎물쑥 / 좀황해쑥 / 털비쑥 / 털산쑥 / 흰산쑥
○ 분포|자생지
중국(만주), 일본, 타이완, 한국, 러시아(우수리) | 전국 산야에 난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 길게 옆으로 벋는다.
줄기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높이 1~1.2m이며 거미줄 같은 털이 있고 종종 자색을 띤다.
잎 근엽은 화시에 마르고 경엽은 호생하며 중부의 잎은 길이 3~7cm, 너비 3~6.5cm이고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며 열편은 너비 3㎜ 이하고 선형이며 뒷면에 백색 면모가 있고 위로 갈수록 작아져 화서의 잎은 선형(線形)이다.
꽃 8~9월에 갈색으로 피고 가지와 줄기 상부 잎짬에 달려 전체가 원추상을 이루며 두화는 통상 종형으로 지름 1㎜, 길이 2㎜이고 화경은 없다. 총포에 거미줄 같은 털이 약간 있고 포편은 4열로 배열하며 외편은 난형으로 끝이 둥글고 보다 짧다.
열매 수과로 길이 1.1㎜ 정도이다.
○ 동정 포인트
1. 줄기에 흔히 자색을 띠고 잎의 열편은 선상 피침형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 활용
줄기를 횃불의 재료로 쓴다.
○ 참고
한반도생물자원포털
이우철 <한국기준식물도감>
○ 여적
-뺑쑥(좌)와 덤불쑥(우) 잎
-덤불쑥(좌)와 뺑쑥(우) 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