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선화 | 鳳仙花, 봉숭아, 영명 : Garden Balsam
Bong-seon-hwa
Impatiens balsamina L.
○ 국명정보
봉선화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조선식물향명집>(1937)
○ 국명의 유래
"봉선화" 라는 이름은 한자명 鳳仙花에서 유래한 것으로, 꽃의 모양이 마치 봉황과 신선을 연상시킨다고 하여 붙여졌다. 달리 봉숭아라고도 하는데, 이는 한자명 봉선화가 발음 과정에서 봉슈화를 저쳐 봉숭아가 된 것이다. 봉숭아는 한자명이 발음 과정에서 우리말로 변화한 사례이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한국 식물 이름의 유래>
○ 분류
봉선화과(Balsaminaceae) 물봉선속(Impatiens)
가야물봉선 / 봉선화 / 노랑물봉선 / 물봉선 / 미색물봉선 / 처진물봉선 / 흰물봉선
○ 분포|자생지
인도, 동남아시아 원산 | 전국에서 원예 화훼용으로 화단에 심어 기른다.
○ 형태
생육형 한해살이풀
줄기 높이 60cm 이상 되는 고성종(高性種)과 25~40cm로 낮은 왜성종(矮性種)이 있는데, 곧게 자라고 육질(肉質)이며 밑부분의 마디가 특히 두드러진다.
잎 어긋나고 잎자루가 있으며 바소꼴로 양 끝이 좁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 4~5월에 씨를 뿌리면 6월 이후부터 꽃이 피기 시작한다. 꽃은 2~3개씩 잎겨드랑이에 달리고 꽃대가 있어 밑으로 처지며 좌우로 넓은 꽃잎이 퍼져 있고 뒤에서 통상으로 된 꿀주머니가 밑으로 굽는다. 꽃 빛깔은 분홍색 ·빨간색 ·주홍색 ·보라색 ·흰색 등이 있고, 꽃 모양도 홑꽃 ·겹꽃이 있다. 수술은 5개이고 꽃밥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씨방에 털이 있다.
열매 삭과(殼果)로 타원형이고 털이 있으며 익으면 탄력적으로 터지면서 씨가 튀어나온다.
○ 동정 포인트
1.
○ 참고
한반도생물자원포털
이우철 <한국기준식물도감>
※주홍박각시 애벌레는 봉선화과 식물, 달맞이꽃, 털부처꽃 등의 잎을 먹이식물로 한다.
○ 여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