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톱풀 |
Keun-top-pul
Achillea ptarmica L. var. acuminata (Ledeb.) Heimerl
○ 국명정보
큰톱풀 : 정태현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1956)
○ 국명의 유래
"큰 + 톱풀", 큰톱풀이라는 이름은 머리모양꽃차례, 잎 등 식물체가 톱풀에 비하여 보다 큰 종류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국화과(Asteraceae) 톱풀속(Achillea)
서양톱풀 / 붉은톱풀 / 톱풀 / 산톱풀 / 큰톱풀
○ 분포|자생지
중국, 러시아(아무르, 우수리, 동시베리아), 몽골, 일본, 한국 | 함북 백두산 지역의 산지 풀밭에 자란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줄기 곧추서고 가지가 갈라지지 않으며 높이 85㎝에 달하고 상부에 털이 약간 있다.
잎 근엽은 화시에 마르고 경엽은 호생하며 선상 피침형으로 길이 7~8㎝, 너비 4㎜이고 점차 뾰족해지며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고 밑부분이 줄기를 감싸며 양면에 털이 다소 있으나 없어지고 밑부분에 점이 있다.
꽃 7~8월에 백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산방상으로 달리며 두화는 지름 11㎜이다. 총포는 반구형이고 길이 4㎜이며 포편은 2열로 배열하고 외편(外片)은 짧으며 끝이 뾰족하고 내편은 끝이 둥글고 가장자리가 갈색이다. 설상화(舌狀花)는 암꽃으로 2열로 배열하며 화관은 5~5.5㎜이다. 양성화는 길이 2.5㎜ 정도로 밑부분이 편평하고 날개가 있다.
열매 수과이다.
○ 동정 포인트
1. 본종은 잎이 점차 뾰족해지고 두화의 지름이 11㎜이다.
○ 참고
한반도생물자원포털
이우철 <한국기준식물도감>
○ 여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