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

붉은병꽃나무(1)

by 풀꽃나무광 2014. 5. 14.

붉은병꽃나무(1) | 팟꽃나무, 병꽂나무, 통영병꽃나무, 좀병꽃나무, 물병꽃나무, 당병꽃나무, 조선병꽃나무,참병꽃나무

Bulgeun-byeong-kkot-na-mu

Weigela florida (Bunge) A. DC.

 

○ 국명정보
붉은병꽃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조선식물향명집>(1937)

○ 국명의 유래 
"붉은 + 병꽃나무", 붉은병꽃나무라는 이름은 꽃이 붉은색인 병꽃나무라는 뜻에서 붙여졌다. 꽃은 5월에 붉은색으로 피는데 <조선식물향명집>에서 방언에서 유래한 병꽃나무를 기본으로 하고 꽃의 색깔을 나타내는 붉은을 추가해서 신칭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한국 식물 이름의 유래>

 

분류
병꽃나무과(Diervillaceae) 병꽃나무속(Weigela)

골병꽃나무 / 병꽃나무 / 붉은병꽃나무 / 산소영도리나무 / 색병꽃나무 / 소영도리나무 / 통영병꽃나무 / 흰골병꽃나무 / 흰병꽃나무 / 흰털병꽃나무

 

 ○ 분포|자생지
 
  중국(산둥반도 이북), 일본, 러시아(동부), 한국 | 전국의 산지에 자란다.

 

 ○ 형태
   수형
 낙엽 관목이며 높이 2-3m 정도 자란다.
   수피  회갈색-회색이고 피목이 발달하며, 오래되면 세로로 갈라져서 조각으로 떨어진다.

   겨울눈  길이 4-6mm의 좁은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인편은 4-5쌍이다. 
     마주나며 길이 4-10cm의 타원형-난상 타원형이다. 끝은 꼬리처럼 길게  뾰족하고, 밑부분은 둥글거나 쐐기형이며, 가장자리에는 얕은 톱니가 있다. 표면에는 털이 적고 뒷면은 털이 밀생한다. 잎자루는 거의 없다.

     5-6월에 잎겨드랑이에 붉은색의 양성화가 1-3개씩 달린다. 꽃받침은 좁은 원통형이고, 겉에 털이 있으며 중간까지 5갈래로 갈라진다. 화관은 길이 3-4cm의 깔때기 모양이고 끝이 5갈래로 갈라지며, 겉에는 털이 약간 있다. 수술은 5개다. 자방 윗부분에 황록색의 선점이 있으며, 암술대는 가늘고 화관 밖으로 나온다.
   열매  삭과, 길이 1.5-2.5cm의 선상 원주형이며, 털이 거의 없다. 10-11월에 익는다.

 

동정 포인트 
 
 병꽃나무에 비해 식물체 전체에 털이 적으며, 꽃이 붉은색으로 피고 꽃받침이 중간까지 갈라지는 점이 특징이다. 간혹 낮은 지대에도 자라지만 주로 높은 산지에 자란다.

 

 ○ 참고
   
김진석, 김태영 <한국의 나무>

 

여적

 

2016. 05. 05. 제주도 돈내코
2014. 04. 26. 강원 춘천 금병산
2012. 05. 18. 강원 연천 고대산
2014. 06. 07. 제주도 한라산

 

'한반도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솜나물  (0) 2014.05.14
나도물통이  (0) 2014.05.14
키다리난초  (0) 2014.05.13
금새우난초  (0) 2014.05.13
은대난초  (0) 2014.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