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

꼬리까치밥나무

by 풀꽃나무광 2014. 5. 5.

꼬리까치밥나무 | 이삭까치밥

Kko-ri-kka-chi-bap-na-mu

Ribes komarowvii Pojark.

 

○ 국명정보

꼬리까치밥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조선식물향명집>(1937)

 

○ 국명의 유래
1. '꼬리+까치밥나무'로 분석됨. 꼬리까치밥나무라는 이름은 짐승의 꼬리 같은 꽃차례를 가진 까치밥나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조선식물향명집>에서 까치밥나무를 기본으로 하고 식물의 형태적 특징을 나타내는 꼬리를 추가하여 신칭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한국 식물 이름의 유래>

까치밥나무라는 이름은 강원 방언에서 유래했으며, 열매를 까치가 잘 먹는다는 뜻에서 붙여졌다. 그러나 높은 산의 수림 속에서 자라므로 실제로 까치가 잘 먹는다기보다는 열매를 식용하기 곤란한 까마귀밥나무에 비해 식용하기에 좋은 열매가 열리는 나무라는 뜻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추정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한국 식물 이름의 유래>

2. 까치가 먹음직한 빨간 열매가 달리는 나무라는 뜻의 까치밥나무 앞에 꼬리가 놓여 합성된 말이다. 까치밥나무와 흡사하며, 화서와 열매가 꼬리처럼 늘어져 달리는 데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 : 박상진 <우리 나무 이름 사전>(2019)

 

분류
    까치밥나무과(Grossulariaceae) 까치밥나무속(Ribes)

 가시까치밥나무 / 까막까치밥나무 / 까막바늘까치밥나무 / 까치밥나무 / 꼬리까치밥나무 / 넓은잎까치밥나무 / 눈까치밥나무 / 명자순 / 바늘까치밥나무 / 바위까치밥나무 / 서양까치밥나무 / 양까막까치밥나무 / 카란트 / 개앵도나무 / 까마귀밥나무 / 좀꼬리까치밥나무

 

분포|자생지
 
  중국(동북부), 러시아(동부), 한국 | 지리산 이북의 아고산대(능성, 숲 가장자리) 및 석회암지대에 드물게 자란다.

 

형태
   수형
 낙엽 관목이며 높이 1-3m, 정도로 자란다.
   수피  회갈색이며 오래되면 세로로 갈라져 벗겨진다.
     어긋나며 길이 2-6cm의 광난형 또는 아원형이고 3(~5)갈래로 얕게 갈라진다. 끝은 뾰족하고 밑부분은 쐐기형-심장형이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하게 둔한 톱니가 있다. 잎자루 길이는 6-17mm이다.
     암수딴그루이며, 4-5월에 잎이 나는 시기에 곧추서는 총상꽃차례에 황록색의 꽃이 모여 달린다. 수꽃차례는 길이 2-5cm이고 10개 이상의 꽃이 달리며 암꽃차례는 길이 1.5-2.5cm이고 5-10개의 꽃이 달린다. 꽃차례의 축과 줄기에는 짧은 샘털이 있으며 포는 갈색이고 길이 4-6cm의 타원형이다. 꽃받침은 털이 없으며 꽃받침열편은 난형 또는 좁은 난형이고 곧추선다. 꽃잎은 도란형 또는 아원형이고 매우 작다. 수술은 꽃잎보다 약간 길며 자방은 털이 없고 암술대는 2갈래로 갈라진다.
   열매  장과, 지름 7-8mm의 구형이며 9-10월에 적색으로 익는다.

 

동정 포인트
 1. 명자순과 닮았으나 잎의 털이 적고(뒷면 맥 위에 약간 있음) 톱니가 둔하며, 열매가 5-10개로 주렁주렁 달리는 특징으로 쉽게 구별할 수 있다.  

2. 까치밥나무의 화서(열매)는 아래로 드리우는 데에 비해 꼬리까치밥나무는 위를 향해 달린다.

 

참고
   
김진석, 김태영 <한국의 나무>

 

여적

 

-잎의 표면에는 털이 없고 뒷면에만 있다. 잎 가장자리에는 불규칙하게 둔한 톱니가 있다. 열매근 구형이며 9-10월에 적색으로 익는다.

2010. 9. 28-30. 강원도 발왕산

'한반도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퉁둥굴레  (0) 2014.05.05
용둥굴레  (0) 2014.05.05
큰구슬붕이  (0) 2014.05.05
괴불주머니  (0) 2014.05.04
광대수염  (0) 2014.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