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리화 |
Man-ri-hwa
Forsythia ovata Nakai
※한반도고유종
○ 국명정보
만리화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조선식물향명집>(1937)
○ 국명의 유래
"만리화" 라는 이름은 길게 줄기어 자라는 모습을 만 리에 꽃이 피어 있는 것에 비유해 붙여졌다. 강원 방언을 채록한 것이다. 향기가 만 리까지 퍼진다는 뜻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으나 실제로 향기가 강하게 나지 않으므로 타당성이 의심스럽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한국 식물 이름의 유래>
○ 분류
물푸레나무과(Oleaceae) 개나리속(Forsythia)
개나리 / 당개나리 / 만리화 / 산개나리 / 의성개나리 / 장수만리화
○ 분포|자생지
한국 | 강원도(설악산, 덕항산, 자병산 등), 경북(봉화)의 높은 산지 바위지대 및 석회암지대에 자란다.
○ 형태
수형 낙엽 관목이며 높이 1.5-2.5m 정도로 자란다.
수피 연한 회색을 띠며 피목이 발달한다.
잎 마주나며 길이 5-7cm의 장타원상 난형 - 광난형이다. 끝은 꼬리처럼 급히 뾰족해지고 밑부분은 둥글거나 넓은 쐐기형이며, 가장자리에는 뾰족한 톱니가 있다.
꽃 암수딴그루이며, 3-4월에 잎이 나기 전에 잎겨드랑이에서 황색 꽃이 1개씩 달린다. 화관은 지름 2.5cm가량의 깔때기 모양이고 4갈래로 깊게 갈라지며, 열편은 길이 1.5cm 정도의 장타원형이다. 꽃은 단주화와 장주화의 2가지 형태가 있다. 단주화는 수술의 길이가 5-6mm이고 암술대는 길이 1.5-2mm이다. 장주화는 수술의 길이가 2.5-3mm이고 암술대는 6-7mm이다.
열매 삭과, 길이 7-12mm가량의 끝이 뾰족한 난형이고, 표면에 피목이 있으며 9-10월에 익는다.
○ 동정 포인트
산개나리에 비해 잎이 난상이며 화관이 넓게 벌어지고 화관열편이 짧은 것이 특징이긴 하지만 두 종이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는다.
▩개나리 : 산개나리 : 만리화 대비
개나리 | 산개나리 | 만리화 | |
줄기 | 높이 2-3m, 가지가 길게 자라 끝이 활처럼 아래로 굽는다. 수피는 회색~회갈색, 둥근 피목이 발달 | 높이 1.5-2.5m, 가지가 곧추선다. 수피는 회갈색, 사마귀 같은 피목이 있다. | 높이 1.5-2.5m 정도, 가지가 다소 굽는다. 수피는 회갈색, 피목이 있다. |
잎 | 대생, 길이 5-10cm, 피침형-난상장타원형, 끝 뾰족, 밑은 쐐기형, 엽연-기부에서 1/3지점 이상에 뾰족한 톱니 | 대생, 길이 3-8cm, 피침형-난상 장타원형, 끝은 뾰족, 밑은 쐐기형-넓은쐐기형, 엽연-뾰족한 톱니. 표면의 엽맥은 움푹하고 뒷면 엽맥은 돌출, 간혹 부드러운 털이 밀생하는 경우도 있다. | 대생, 길이 5-7cm, 장타원상 난형-광란형, 잎끝-꼬리처럼 급히 뾰족, 밑은 둥글거나 넓은 쐐기형, 엽연에 뾰족한 톱니가 있다. 잎에 윤채가 있다. |
꽃 | 암수딴그루, 3-4월이 잎이 나오기 전에 잎겨드랑이에서 1-3개씩 노란색 개화, 화관 지름 3cm 정도, 깔때기 모양, 4갈래로 깊게 갈라짐, 열편 장타원형. 장주화(암꽃역할)와 단주화(수꽃역할)가 있다. 단주화가 흔하다. | 암수딴그루, 3-4월이 잎이 나오기 전에 잎겨드랑이에서 1개씩, 노란색 개화, 화관 지름 2.5-3cm, 깔때기 모양, 4갈래로 깊게 갈라짐, 열편 길이 1.5-1.8cm, 좁은 장타원형. 장주화(암꽃역할)와 단주화(수꽃역할)가 있다. | 암수딴그루, 3-4월이 잎이 나오기 전에 잎겨드랑이에서 1개씩 달림, 노란색 개화, 화관 지름 2.5cm가량, 깔때기 모양, 4갈래로 깊게 갈라짐, 열편 길이 1.5cm 정도, 장타원형. 장주화(암꽃역할)와 단주화(수꽃역할)가 있다. |
열매 | 삭과 길이 1.5cm 정도의 난형, 10-11월에 익는다. 종자는 길이 4-5mm의 장타원형, 표면에 미세한 돌기 | 삭과 길이 0.7-1.2cm, 끝이 뾰족한 난형, 겉에 피목이 있다. 9-10월에 익는다. 종자는 길이 4-5mm의 장타원형 | 삭과 길이 0.7-1.2cm, 끝이 뾰족한 난형, 겉에 피목이 있다. 9-10월에 익는다. |
○ 참고
김진석, 김태영 <한국의 나무>
※산개나리를 비롯해 형태적으로 매우 유사한, 일본 혼슈 석회암지대에 분포하는 F. japonica Nakai 와 중국 랴오닝성에 분포하는 F. mandschrica Uyeki와 비교 검토가 필요한다.
○ 여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