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

변산바람꽃(1)

by 풀꽃나무광 2014. 3. 9.

변산바람꽃(1)  | 겹변산바람꽃, 분홍변산바람꽃

Byeon-san-ba-ram-kkot

Eranthis byunsanensis B.Y. Sun

※한반도특산식물


○ 국명 정보
변산바람꽃 : 선병윤, Korean J. Pl. Taxon. 23 : 22 (1993)


○ 국명의 유래
"변산 + 바람꽃", 변산바람꽃이라는 이름은 전라북도 변산반도에서 처음 발견 기록한 바람꽃 종류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바람꽃이라는 이름은 잎이나 꽃이 매우 가늘어 바람에 쉽게 산들거리는 데서 유래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한국 식물 이름의 유래>

 

 분류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너도바람꽃속(Eranthis)

  너도바람꽃 / 변산바람꽃 / 풍도바람꽃

 

 분포|자생지
 
  한국 | 강원도(설악산 동해 쪽), 경기도(수리산, 청계산, 명지산), 전라북도(변산반도, 마이산), 전라남도(지리산), 경상북도(토함산), 제주도(한라산) 등의 숲 속 낙엽수림 밑에 자란다. 

 

 형태
   생육형  
여러해살이풀  
   줄기  높이 10-30cm다. 
     뿌리에서 난 잎은 오각상 원형으로 길이와 폭이 각각 3-5cm, 3갈래로 깊게 갈라진다.
     2-3월 줄기 끝에 1개씩 피며, 흰색 또는 분홍빛이 조금 돌고, 지름 2-3cm다. 꽃자루는 털이 없고, 길이 1cm쯤이다. 꽃을 받치고 있는 꽃싸개잎은 2장, 잎자루가 없고, 3-4갈래로 갈라지는데 갈래는 가장자리가 밋밋한 선형이다. 꽃받침잎은 5-7장, 꽃잎처럼 보인다. 꽃잎은 4-11장, 깔때기 모양, 노란빛이 도는 녹색, 길이 3-4mm다. 수술은 많고, 길이 5-8mm다.
   열매  골돌이며, 길이 1cm쯤이다.

 

 동정 포인트 
  
 1. 너도바람꽃(E. stellata Maxim.)과는 분포 지역, 꽃싸개잎 및 꽃잎 모양이 다르다.

   2. 일본특산식물인 E. pinnatifida Maxim.은 꽃잎이 Y자로 완전히 갈라지므로 이 종과 다르다.

 

 참고
    
한국의 멸종위기식물     http://www.rareplant.info/plant.php?act=PLANT_INFO&no=187
    이우철 <한국기준식물도감>

 

여적 

[봄꽃 1]우리나라에서만 볼 수 있는 변산바람꽃

http://www.hani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819

  ▩ 올해도 변산바람꽃과 함께 꽃산행을 시작한다. 해마다 보는 꽃이지만 보면 볼수록 앙증맞고 귀여운 꽃이다. 동무와 함께 작년 자생지와는 다른 곳으로 갔다. 개체수와 분포지도 훨씬 넓어 보인다. 꽃사진 찍으러 온 사람들고 참 많다. 며칠 전의 추위로 일찍 핀 개체들은 냉해를 입어서 땅에 쓰러져 있어 애처롭게 보인다. 계획은 오늘 변산 답사를 가기로 했는데 어긋났다. 변산바람꽃의 기준표본 채집지인 변산에서 만나보려 했는데 올해도 이곳에 와서 또 만난다. 이른 봄에 피는 꽃 중에서도 내 고향 변산이란 말이 들어 있어서 그럴까, 유난히 애정이 가는 봄꽃이다.


 ▩ 변산바람꽃은 봄을 기다리는 우리들을 감동시키고도 남을 만한 식물이다. 봄꽃이지만 2월부터 꽃을 피우는 것은 물론이며, 마을 부근이나 밭가 등 쉽게 눈에 띄는 장소에 자라지 않고 깊은 산 속에서 자라기 때문이다. 더욱이 꽃은 지름이 2-3cm나 되어 크고, 흰색으로서 수수하면서도 화려하여 추위를 이겨내며 본을 기다리는 우리네 정서와 딱 맞아떨어진다. 2월 초순 제주도에서 피기 시작하여 3월 초순 내장산에서 피고, 아우리 추운 설악산이라 하여도 3월 20일경이면 피므로 채 봄이 오기 전에 피고 지는 꽃이다.
  이처럼 일찍 피는 바람에 식물학자들조차 오랫동안 이 시굴에 주목하지 못했다. 너무 일찍 꽃이 피므로 관찰하고 채집할 기회가 없었던 것인데, 전북대학교 선병윤 교수에 의해 1993년에야 발견도어 비로소 빛을 보게 되었다. 변산바람꽃이라는 이름도 처음 발견되 장소가 전라북도 변산반도이기 때문에 붙여졌다. 첫 발견 이후에 한라산, 전남 여수, 경주 토함산, 마이산, 내장산, 선운산, 등지에서 추가로 확인되어 베일이 가져졌던 분포 지역이 서서히 밝혀지고 있다.  최근에는 경기도 수리산, 청계산, 명지산과 강원도 설악산 동해 쪽에서도 발견되었다.----제주도와 서남부 지방에서만 자라는 식물이 뚝 떨어진 설악산에 살고 있으리라고는 예상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현진오 <사계절 꽃산행>

 

 

 

 

 

 

 

 

 

 

 

 

 

 

 

 

 

 

 

 

 

 

 

 

 

 

 

 

 

 

 

 

 

2014. 03. 08. 경기도 안양

 

'한반도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끼노루귀  (0) 2014.03.09
노루귀  (0) 2014.03.09
생강나무  (0) 2014.03.08
비목나무  (0) 2014.03.08
감태나무  (0) 2014.0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