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치밥나무 | 산앵도, 산정자, 鵲啄木(작탁목)
Kka-chi-bap-na-mu
Ribes mandshuricum (Maxim.) Komar.
○ 국명정보
까치밥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조선식물향명집>(1937)
○ 국명의 유래
1. "까치밥 + 나무", 까치밥나무라는 이름은 강원 방언에서 유래했으며, 열매를 까치가 잘 먹는다는 뜻에서 붙여졌다. 그러나 높은 산의 수림 속에서 자라므로 실제로 까치가 잘 먹는다기보다는 열매를 식용하기 곤란한 까마귀밥나무에 비해 식용하기에 좋은 열매가 열리는 나무라는 뜻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추정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한국 식물 이름의 유래>
2. 가을에 콩알 굵기의 말랑말랑한 열매가 빨갛게 아래로 늘어져 달리는데 사람들이 길조로 생각하는 까치가 밥으로 먹기에 좋을 것 같다는 뜻을 담아 그런 이름이 지어졌다. 출전:박상진<우리 나무 이름 사전>(2019)
○ 분류
까치밥나무과(Grossulariaceae) 까치밥나무속(Ribes)
까치밥나무 / 꼬리까치밥나무 / 넓은잎까치밥나무 / 눈까치밥나무 / 명자순 / 바늘까치밥나무
○ 분포|자생지
중국, 러시아(동부 시베리아), 한국 | 경남(지리산), 전북(덕유산), 강원 이북의 높은 산에 자란다.
○ 형태
수형 낙엽 활엽 관목, 높이 2m 정도 자란다.
수피 회색이며 소지는 갈색이고 동아는 난형으로 털이 있다.
잎 잎은 호생하고 둥글며 길이 5~10㎝, 너비 4~10㎝이고 밑은 심형이며 3~5개로 갈라지고 겹 톱니가 있으며 표면은 녹색으로 잔털이 있고 뒷면은 백융모가 밀생하며 엽병은 길이 1~6㎝이다.
꽃 양성화로 5월에 피고 길이 20㎝ 정도의 아래로 드리우는 총상화서에 많은 꽃이 달린다. 포는 숙존성, 꽃받침 조각은 둥글고 꽃잎은 도란형이며 젖혀진다. 수술은 길게 밖으로 나오며 암술대는 2개로 갈라진다.
열매 장과, 구형이며 검붉게 익는다.
○ 동정 포인트
1. 명자순에 비해 포는 숙존성이고 과실은 검붉게 익는다.
2. 잎 가장자리 까치밥나무-겹톱니(불규칙한 잔톱니)이다. 꼬리까치밥나무는 불규칙하고 둔한 톱니가 있다.
3. 엽병의 길이가 까치밥나무=>1~6cm, 꼬리까치밥나무 => 0.5-1.5cm이다.
4. 까치밥나무에 비해 잎 뒷면 맥 위에만 털이 있고 화서에 털이 적은 것을 개앵두나무 for. subglabrum (Komar.) Kitagawa라 한다.
○ 참고
이우철 <한국기준식물도감>
김진석, 김태형 <한국의 나무>
○ 여적
2007. 05. 07. 명지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