뻐꾹채 | 뻑국채
Bbeo-kkuk-chae
Rhaponticum uniflorum (L.) DC.
○ 국명정보
뻑국채 :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뻐꾹채 : 조선식물명집(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뻐꾹채"라는 이름은 꽃이 핀 총포의 얼룩덜룩한 모습이 뻐꾸기의 깃털과 닮았고 줄기에 달린 꽃의 모양이 긴 자루(채)를 연상시키는 것에서 유래했다. 꽃은 4-5월에 자주색으로 피고 총포조각이 크게 발달한다.물명고에 기록된 법고ㅊ·ㅣ가 직접적 어원이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한국 식물 이름의 유래>
○ 분류
국화과(Asteraceae)>국화아과(Asteroideae)>금방망이족(Senecioneae)>뻐국채속(Rhaponticum)
뻐꾹채
○ 분포|자생지
중국, 몽골, 러시아, 한국 | 전국의 햇볕이 잘 들고 건조한 산과 들에 자란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줄기 전체에 흰 솜털이 빽빽하게 덮인다. 뿌리줄기는 밑으로 곧게 뻗으며, 지름 1cm 이상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30-70cm다.
잎 깃 모양으로 깊게 갈라지는 홑잎, 갈래가 6-8쌍이다. 뿌리잎은 길이 15-30cm, 폭 4-7cm이며, 밑이 날개 모양으로 넓어져 잎자루까지 이어진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위로 갈수록 작고 잎자루가 없어진다.
꽃 줄기 끝에서 머리모양꽃차례로 달리며, 붉은 보라색이다. 머리모양꽃은 지름 6-9cm다. 모인꽃싸개조각은 6줄로 배열한다. 꽃은 모두 관모양꽃이며, 관모양꽃은 길이 2-3cm다. 화관은 끝이 5갈래로 갈라진다. 수술은 5개, 암술은 1개다.
열매 수과, 긴 타원형, 능선이 4개 있다.
○ 동정 포인트
1. 산비장이속에 비해 총포편에 건피질(乾皮質) 형의 부속채가 달려 있는 것이 다르다.
○ 참고
한반도생물자원포털 http://www.nibr.go.kr/species/home/species/spc01001m.jsp?cls_id=56086&from_sch=Y
○ 여적
▽주로 석회암지대에서 흔하게 볼 수 있다. 꽃이 실하고 아름다워 원예적 가치가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