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왕대2

왕대(1) 왕대(1) | 강죽, 참대, 苦竹 Wang-dae Phyllostachys bambusoides Siebold & Zucc. ※죽순대에 비해서 죽순이 쓰다고 하여 일명 苦竹이라고도 한다. ○ 국명정보 왕대 :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 국명의 유래 "왕+대"의 합성어이다. 왕대라는 이름은 왕과 대의 합성어로, 크게 자라는 대나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왕대, 죽순대(맹종죽), 솜대, 오죽 등을 총칭하여 대나무라고 한다. 중국 남부에서는 대를 한자로는 죽(竹)이라고 했는데 옛날 중국 남부에서 죽(竹)을 '덱[tek]'이라고 읽었다고 한다. 이를 차용하여 우리나라에서는 덱의 끝소리 'ㄱ'이 약하되어 '대'로 발음하게 되었다는 설이 있다. 조선식물ㅎ향명집에서는 참대로 기록하였으나 조선산림도설에서 .. 2016. 11. 19.
왕대 왕대 | 강죽, 참대, 苦竹 Wang-dae Phyllostachys bambusoides Siebold & Zucc. ※죽순대에 비해서 죽순이 쓰다고 하여 일명 苦竹이라고도 한다. ○ 국명정보 왕대 :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 국명의 유래 "왕+대"의 합성어이다. 왕대라는 이름은 왕과 대의 합성어로, 크게 자라는 대나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왕대, 죽순대(맹종죽), 솜대, 오죽 등을 총칭하여 대나무라고 한다. 중국 남부에서는 대를 한자로는 죽(竹)이라고 했는데 옛날 중국 남부에서 죽(竹)을 '덱[tek]'이라고 읽었다고 한다. 이를 차용하여 우리나라에서는 덱의 끝소리 'ㄱ'이 약하되어 '대'로 발음하게 되었다는 설이 있다. 조선식물ㅎ향명집에서는 참대로 기록하였으나 조선산림도설에서 왕대로.. 2015. 11.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