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어저귀2

어저귀(1) 어저귀(1) | 모싯대, 오작이, 靑麻, 白麻, 언주에/어주에(제주) Eo-jeo-gwi Abutilon theophrasti Medik. 재배식물 ○ 국명정보 어저귀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엊 + 어귀"어저귀라는 이름은 천이나 노끈 등을 만드는 식물이라는 뜻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열매를 약용하고 줄기의 껍질로 섬유를 만들었다. 은 경실(苘實)에 대한 한글명이 '어저귀여름'이고 이를 "이질 등의 치료에 사용하며, 지금 사람들이 껍질로 천을 짜고 노끈을 꼬는 것이다."라고 기록했다. 엊+어귀에서 엊은 줄기 껍질을 엮어서 천이나 노끈을 만드는 식물이라는 뜻이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아욱과(Malvacea.. 2017. 9. 1.
어저귀 어저귀 | 모싯대, 오작이, 靑麻, 白麻, 언주에/어주에(제주) Eo-jeo-gwi Abutilon theophrasti Medik. 재배식물 ○ 국명정보 어저귀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엊 + 어귀"어저귀라는 이름은 천이나 노끈 등을 만드는 식물이라는 뜻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열매를 약용하고 줄기의 껍질로 섬유를 만들었다. 은 경실(苘實)에 대한 한글명이 '어저귀여름'이고 이를 "이질 등의 치료에 사용하며, 지금 사람들이 껍질로 천을 짜고 노끈을 꼬는 것이다."라고 기록했다. 엊+어귀에서 엊은 줄기 껍질을 엮어서 천이나 노끈을 만드는 식물이라는 뜻이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아욱과(Malvaceae) .. 2015. 3.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