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더부살이고사리4

더부살이고사리(3) 더부살이고사리(3) | 더부사리고사리, 새끼줄고사리, 싹고사리 Deo-bu-sal-i-go-sa-ri Polystichum lepidocaulon (Hook.) J.Sm. ○ 국명정보 더부살이고사리 : 정태현, 도봉선, 심학진 (1949) 더부사리고사리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더부살이 + 고사리", 더부살이고사리라는 이름은 더부살이하는 고사리라는 뜻에서 붙여졌다. 식물명에서 더부살이는 기생성 식물을 뜻하기도 하지만, 더부살이고사리는 살눈을 통해서 번식할 뿐 기생성 식물은 아니다. 에서 전통 명칭 고사리를 기본으로 하고 식물의 형태적 특징을 나타내는 더부살이를 추가해 신칭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2021. 2. 27.
더부살이고사리(2) 더부살이고사리(2) | 더부사리고사리, 새끼줄고사리, 싹고사리 Deo-bu-sal-i-go-sa-ri Polystichum lepidocaulon (Hook.) J.Sm. ○ 국명정보 더부살이고사리 : 정태현, 도봉선, 심학진 (1949) 더부사리고사리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더부살이 + 고사리", 더부살이고사리라는 이름은 더부살이하는 고사리라는 뜻에서 붙여졌다. 식물명에서 더부살이는 기생성 식물을 뜻하기도 하지만, 더부살이고사리는 살눈을 통해서 번식할 뿐 기생성 식물은 아니다. 에서 전통 명칭 고사리를 기본으로 하고 식물의 형태적 특징을 나타내는 더부살이를 추가해 신칭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2016. 11. 5.
더부살이고사리(1) 더부살이고사리(1) | 더부사리고사리, 새끼줄고사리, 싹고사리 Deo-bu-sal-i-go-sa-ri Polystichum lepidocaulon (Hook.) J.Sm. ○ 국명정보 더부살이고사리 : 정태현, 도봉선, 심학진 (1949) 더부사리고사리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더부살이 + 고사리", 더부살이고사리라는 이름은 더부살이하는 고사리라는 뜻에서 붙여졌다. 식물명에서 더부살이는 기생성 식물을 뜻하기도 하지만, 더부살이고사리는 살눈을 통해서 번식할 뿐 기생성 식물은 아니다. 에서 전통 명칭 고사리를 기본으로 하고 식물의 형태적 특징을 나타내는 더부살이를 추가해 신칭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2015. 11. 2.
더부살이고사리 더부살이고사리 | 더부사리고사리, 새끼줄고사리, 싹고사리 Deo-bu-sal-i-go-sa-ri Polystichum lepidocaulon (Hook.) J.Sm. ○ 국명정보 더부살이고사리 : 정태현, 도봉선, 심학진 (1949) 더부사리고사리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더부살이 + 고사리", 더부살이고사리라는 이름은 더부살이하는 고사리라는 뜻에서 붙여졌다. 식물명에서 더부살이는 기생성 식물을 뜻하기도 하지만, 더부살이고사리는 살눈을 통해서 번식할 뿐 기생성 식물은 아니다. 에서 전통 명칭 고사리를 기본으로 하고 식물의 형태적 특징을 나타내는 더부살이를 추가해 신칭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이창숙.. 2014. 11.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