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

민박쥐나물(1)

by 풀꽃나무광 2018. 10. 15.

민박쥐나물(1) | 박쥐나물, 큰박쥐나물

Min-bak-jwi-na-mul

Parasenecio hastatus (L.) H. Koyama ssp. orientalis (Kitam.) H. Koyama

 

○ 국명정보
민박쥐나물 : 조선식물명집(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민 + 박쥐나물", 민박쥐나물이라는 이름은 털박쥐나물에 비하여 줄기 등에 털이 적은 것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추정한다.

박쥐나물이라는 이름은 세모꼴의 큰잎이 흡사 박쥐가 날개를 펴고 날아가는 형상을 연상하게 하고 잎을 식용한 데서 유래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한국 식물 이름의 유래>

 

분류
  국화과(Asteraceae)>국화아과(Asteroideae)>금방망이족>(Senecioneae)>박쥐나물속(Parasenecio)
 게박쥐나물/귀박쥐나물/나래박쥐나물/참나래박쥐나물/민박쥐나물/박쥐나물/병풍쌈/털박쥐나물/가지박쥐나물/참박쥐나물/어리병풍

 

분포|자생지
 
 중국(동북부), 러시아(캄차카, 사할린), 일본, 한국 | 전국 깊은 산 풀밭 무리지어 난다.

 

형태
   여러해살이풀  
   줄기  곧추서며, 높이 1-2m, 윗부분에 짧은 털이 있다. 
     뿌리잎은 꽃이 필 때 시든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길이 9-13cm의 잎자루가 있다.

잎자루는 기부 쪽으로 흘러 좁아지는 날개가 있는데 톱니는 없다.

잎몸은 삼각상 신장형, 길이 25-35cm, 폭 30-40cm, 끝은 짧게 뾰족하고 밑은 심장형이며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고 양면에 짧은 털이 있다. 
     머리모양꽃이 줄기 끝에서 원추꽃차례에 달리고 흰색이다. 머리모양꽃은 길이 10∼12mm이고 관상화가 6∼9개 있다. 관상화 화관의 길이는 8∼9mm이다. 총포는 길이 10-12mm, 총포편은 5-8개, 끝이 둔하다. 
   열매  수과, 선형, 길이 5-6mm, 세로줄이 있다. 관모는 길이 7mm, 흰색 또는 연한 갈색이다.

 

동정 포인트 
 
 귀박쥐나물(P. auriculatus (DC.) H. Koyama)에 비해서 대형이고 머리모양꽃은 원추꽃차례에 달린다.

 

참고
    
한반도생물자원포털     https://www.nibr.go.kr/species/home/species/spc01001m.jsp?cls_id=57344&show_all_tab=Y&show_cls_nm_gbn=kr
     이우철 <한국기준식물도감>

 

여적

 -엽형은 삼각상 신장형, 기부 쪽으로 점차 좁아지는 엽병에는 톱니가 없는 날개가 있다.

 

 

 

 

 

 

 

 

 

 

 

 

 

 

2018. 09. 08. 강원도 평창 선자령

 

'한반도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남풀(1) |  (0) 2018.10.15
궁궁이(1)  (0) 2018.10.15
여뀌(4)  (0) 2018.10.15
물상추  (0) 2018.10.14
토란  (0) 2018.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