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절구멍장이버섯(20250531)
결절구멍장이버섯(20250531) | 구멍장이버섯
Gyeol-jeol-gu-meong-jang-i-beo-seot
Polyporus tuberaster (Jacq. ex Pers.) Fr. 1821
※한국 고유종이다.
○ 분류
Fungi > Basidiomycota (담자균문) > Agaricomycetes (주름버섯강) > Polyporales (구멍장이버섯목) > Polyporaceae (구멍장이버섯과) > Polyporus (구멍장이버섯속) > tuberaster (구멍장이버섯)
결절구멍장이버섯(=구멍장이버섯) Polyporus tuberaster (Jacq. ex Pers.) Fr. 1821
○ 분포
여름부터 가을까지 한반도 전역의 활엽수림 내 땅위 또는 죽은 나무 위에 홀로 나거나 무리 지어 생육한다.
○ 개요
봄, 가을에 참나무류 등 각종 활엽수 죽은 나무에 단생 또는 군생한다. 때로는 지중에서 발생하기도 하는데, 이때는 균핵을 만들기도 한다. 갓은 폭 4~12cm, 두께 0.5~1cm 정도로서 중형~대형 버섯이다. 거의 원형이고 편평하며 중앙부가 오목하게 들어간다. 표면은 황다색이다. 암갈색의 평평한 인편이 동심원상으로 밀착해 있다. 관공은 길이 1~4mm, 처음에는 원형이다가 방사상으로 가늘고 긴 형태가 된다. 자루는 길이 2-7cm 정도로 아래로 가늘어지며 중심생또는 편심생이고 자루 표면은 연한 황색이다. 나무에 발생하지 않고 땅속에 반쯤 묻혀 날 때는 기부에 균핵이 붙어 있다. 한반도 전역에 생육하며, 한국 고유종이다.
○ 활용
식용 가능하다.
○ 동정 포인트
○ 참고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결절구멍장이버섯(구멍장이버섯) - Polyporus tuberaster : 네이버 카페
○ 여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