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식물

처녀치마(20250531)

풀꽃나무광 2025. 6. 2. 15:52

처녀치마(20250531) | 치마풀, 치마자락풀

Cheo-njeo-chi-ma

Heloniopsis koreana S. Fuse, N. S. Lee & M. N. Tamura

※한반도고유종

 

○ 국명정보
처녀치마 : 정태현, 도상봉, 이덕봉, 이휘재 <조선식물향명집>(1937)

○ 국명의 유래 
"처녀 + 치마"  처녀치마라는 이름은 이른 봄에 잎이 사방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꽃을 피우는 모습을 처녀의 치마에 비유해 붙여졌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한국 식물 이름의 유래>

 

 분류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Liliopsida 백합강 > Liliales 백합목 > Liliaceae 백합과 > Heloniopsis 처녀치마속
숙은처녀치마 / 처녀치마 / 흰처녀치마

 

 분포|자생지
 
  러시아(사할린), 일본, 한국 | 제주도를 제와한 전국의 높은 산 계곡 주변과 능선에 자란다. 

 

 형태
   생육형  
여러해살이풀. 전체에 털이 없다. 
   뿌리줄기  0.8-1.8cm 정도로 짧고, 사이의 간격이 좁으며 수염뿌리기 많다.

     잎은 뿌리에서 10여 장이 모여나 방석처럼 퍼진다. 엽신은 도피침형이고 길이 6-20cm이며 가죽질이고 윤이 나며 끝이 뾰족하다.  
     꽃은 4월에 피며 잎 가운데서 나와 곧추선 높이 10-30cm의 꽃줄기에 3-10개가 총상으로 달린다. 꽃 색깔은 진한 보라색이다. 화피열편은 6개로 도피침형이며, 수술은 6개로 수술대는 화피보다 길다.
   열매  삭과, 선형이고 길이 5-8mm, 3개의 능선이 있다.  8월에 결실한다.

 

 동정 포인트
 
 1. 잎은 대개 주걱형으로 가장자리가 약간 물결 모양인 점에서 잎이 도피침형으로 가장자리가 거의 밋밋한 숙은처녀치마(전국)와 구별한다.

 

 참고
    
한반도생물자원포털     https://www.nibr.go.kr/species/home/species/spc01001m.jsp?cls_id=52420&from_sch=Y
     이우철 <한국기준식물도감>

 

 여적

2025. 05. 31. 평창 금당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