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백두산지역397

좀설앵초 좀설앵초 | 흰좀설앵초 Jom-seol-aeng-cho Primula sachalinensis Nakai ○ 국명정보 좀설앵초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좀 + 설앵초", 좀설앵초라는 이름은 식물체가 상대적으로 소형인(좀) 설앵초라는 뜻에서 율래했다. ○ 분류 앵초과(Primulaceae) 앵초속(Primula) 앵초 / 좀설앵초 / 설앵초 / 큰앵초 ○ 분포|자생지 중국, 러시아(사할린), 한국 | 평북(낭림산), 함남북 등의 고산지대 습지에 자란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무리를 지어 자란다. 잎 잎은 뿌리에서 총생한다. 잎 모양은 도피침형으로 길이 25㎜, 너비 7~10㎜이다. 잎 끝은 둔하거나 뾰족하고 밑은 점차 좁아져서 날개처럼 된다. 엽병은 없고 가장자리는 다소 .. 2013. 8. 3.
숙은꽃장포 숙은꽃장포 | 숙은꽃장포풀, 숙은돌창포, 애기바위장포 Suk-eun-kkot-jang-po Tofieldia coccinea Richardson ○ 국명 정보 숙은꽃장포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숙은 + 꽃장포", 숙은꽃장포라는 이름은 꽃과 열매가 아래로 향해 숙어 있는 꽃장포라는 뜻에서 유래했다에서 유래했다. ○ 분류 백합과(Liliaceae) 석장포속(Tofieldia) 꽃장포 / 숙은꽃장포 / 한라꽃장포 ※위키백과 APG III 분류체계에서는 택사목 돌창포과로 분류함. ○ 분포|자생지 북반구 온대와 아한대 | 평북, 함남북, 경남(가야산)의 높은 산 고지대에 자란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줄기 높이 5-16cm이다. 잎 줄기 아래쪽의 잎은 선형, 길이 2.5-8cm.. 2013. 8. 3.
자주종덩굴 자주종덩굴 | 고려종덩굴, 자지종덩굴, 산종덩굴, 만첩산종덩굴, 가는잎종덩굴, 겹종덩굴, 겹산종덩굴, 좁은잎종덩굴, 좁은잎함북종덩굴, 참종덩굴, 함북종덩굴 Ja-ju-jong-deong-gul Clematis alpina (L.) Mill. var. ochotensis (Pall.) S. Watson ○ 국명정보 자주종덩굴 : 이창복 (1947) 자지종덩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자주 + 종덩굴", 자주종덩굴이라는 이름은 꽃이 짙은 자주색으로 피는 종덩굴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에 자지종덩굴을 신칭해 기록했으나 에서 표기법에 맞추어 자주종덩굴로 개칭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미나리아재비과(.. 2013. 8. 3.
왕죽대아재비 왕죽대아재비 | 큰죽대, 왕섬죽대, 좀죽대아재비. 큰잎죽대아재비, 왕섬죽대아재비 Wang-juk-dae-a-jae-bi Streptopus koreanus (Kom.) Ohwi | Streptopus ajanensis var. koreanus Kom. / Streptopus streptopoides var. koreanus (Kom.) Kitam. ※ The Plant List 에서 추천하고 있는 학명은 Streptopus koreanus (Kom.) Ohwi 임 ○ 국명정보 왕죽대아재비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큰죽대 : 정태현, 도상봉,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는 왕죽대아재비를 추천명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줄기의 높이로 보면 왕죽대아재비는 30-40cm,이.. 2013. 8. 3.